•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6-17세기 초반 南冥學派의 箴 작품에 나타난 수양론 (Suyangron(修養論) Found in Nammyeong School’s Jam(箴) Works during the 16th to early 17th Century)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5.03
46P 미리보기
16-17세기 초반 南冥學派의 箴 작품에 나타난 수양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南冥學硏究 / 45호 / 27 ~ 72페이지
    · 저자명 : 전병철

    초록

    16-17세기 초반은 南冥 曺植(1501-1572)이 학파를 형성하고 그의 제자 및 재전제자가 활발한 활동을 전개한 시기였다. 1623년 인조반정으로 인해 남명학파가 심각한 타격을 입고 학문적ㆍ정치적 활동에서 전면에 나서기 어려웠던 점을 생각할 때, 이 시기는 남명학파의 전성기라고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글에서는 16-17세기 초반에 창작된 남명학파 학자들의 箴 작품을 대상으로 그 속에 담긴 수양론을 파악해보고자 시도했다.
    箴의 효용성에 주목해 작품의 주제와 내용을 분석하여 수양의 실천 양상을 분류한 결과,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첫째는 수양론의 핵심사상을 제기하여 그것에 따른 실천 의지를 촉구한 작품군이다. 이것은 보다 근원적ㆍ본질적 측면에서 자신이나 타인을 규계하는 것이므로, 치료 방법 중에서 原因治療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둘째는 특정한 병폐나 구체적인 실천 덕목을 적시하여 그것에 따른 수양 방법을 모색한 것으로, 어떤 증상에 대해 직접적인 처방을 하는 對症治療의 명목으로 구분할 수 있다. 셋째는 어느 시기나 어떤 사건이 계기가 되어 새롭게 전환하려는 시도를 할 때 지어진 작품으로, 이것은 주위 환경이나 생활 습관을 개선하여 병을 호전시키는 改善治療와 같다고 말할 수 있다.
    3가지 유형 가운데 편수가 가장 많은 것은 對症治療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총 10편이 여기에 속한다. 原因治療는 5편이 있으며, 改善治療는 4편이다. 곽재우의 「調息箴」은 호흡법에 관한 내용으로 다른 箴 작품의 일반적인 성향과 구별되어 기타로 분류했다.
    16-17세기 초반 남명학파 학자들이 창작한 箴 작품은 총 20편인데, 비슷한 시기에 지리산권의 서부인 호남지역에서는 箴 작품의 수량이 6편 정도에 불과하며, 그 내용도 2편이 임금을 위해 지은 官箴이고 나머지 4편은 경전을 해석하거나 전대의 작품에 차운한 것이다. 이처럼 호남지역의 箴 창작 양상과 대비해 보자면, 남명학파 학자들의 箴 작품은 수양의 내용 및 방법을 서술한 것이 매우 구체적이며 실질적이다. 따라서 16-17세기 초반 남명학파의 箴 작품은 수양 방법을 제시하고 실천하려는 의지가 강하게 나타난다고 그 특징을 요약할 수 있다.

    영어초록

    From the 16th to early 17th century is the period that Nammyeong(南冥) Cho Sik (曺植, 1501-1572) formed a school and his disciples developed their activities aggressively. Considering the fact that Nammyeong School was seriously affected by Injobanjeong(仁祖反正) in 1623 and it could hardly take any initiative in academic ㆍ political activities, we can see that this period was the prime time of Nammyeong School. Accordingly, this article is intended to understand Suyangron(修養論) contained in Nammyeong scholars’ Jam(箴) works created during the 16th to early 17th centur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topics and contents of those works focusing on Jam(箴)’s utility and classifying the aspects of practicing cultivation, it can be divided largely into three types. The first one is the works’ group that presents the nuclear idea of Suyangron and enhances the will of practice for it. Since this is to regulate oneself or others in more fundamental and essential aspects, it corresponds to causal treatment among many kinds of treatment. The second one is to point out particular ills or detailed virtue items of practice and figure out a way of cultivation for them, so this can be classified as symptom treatment that gives a direct prescription for a certain symptom. The third one is the works’ group written when there was a particular period or event and it formed a chance for a transition, and this can be regarded as improving treatment to better surrounding environment or habits and cure the disease.
    Among the three types, the one including the highest number of works is that of symptom treatment, and there are total 10 works corresponding to this. Causal treatment has five works, and improving treatment includes four. Gwak Jaewoo(郭再祐)’s 「Josikjam(調息箴)」 is about respiration methods and its general tendency is different from other Jam works’, so it is classified into others.
    There were total 20 Jam works created by Nammyeong scholars from the 16th to early 17th century, and in the similar period, there were only six pieces of Jam in Honam(湖南) area, the west of Jiri Mountain sphere, and about the contents, two were Gwanjam(官箴) written for the king, and the rest four were the ones to interpret scriptures or quote previous works. Comparing it with the creation of Jam in Honam area, we can see that Nammyeong scholars’ Jam works are very concrete and practical in terms of describing the contents or directions of cultivation. Therefore, Nammyeong School’s Jam works in the 16th to early 17th century is, in brief, characterized by their strong tendency to suggest methods of cultivation and enhance the will of practi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