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혜강 최한기의 감각론과 지각론 (A Study on the Theories of Sense and Perception of Hyegang Choi Han-gi)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3.09
24P 미리보기
혜강 최한기의 감각론과 지각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69호 / 69 ~ 92페이지
    · 저자명 : 이진오

    초록

    혜강(惠岡) 최한기(崔漢綺, 1803-1877)는 조선 말기 사상가로서 전통사상을 비판적으로 계승하면서 서구의 사상까지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동서 통섭의 선구적 업적을 성취하였다. 이 과정에서 혜강은 감각을 배제한 채 마음의 원리만을 궁구하는 전통 학문의 허구성을 지적하고, 모든 탐구는 감각으로부터 시작할 것을 강조하였고, 이러한 혜강의 학문방법론은 대개 경험주의라는 이름으로 평가되었다.
    그런데, 혜강의 철학체계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이 기(氣)와 신기(神氣)인데, 기와 신기는 감각적으로 어떻게 지각하며, 기와 신기는 어떻게 구분되는 것인가 하는 점이 문제가 된다.
    혜강은 기가 형질 내부와 외부의 두 가지 기로 나뉘는데, 내부의 기는 바로 ‘운화의 기’이며, 이것은 살아있는 기로서 해부를 한다고 볼 수 있는 것이 아니라고 하였다. 그 ‘살아있음’을 느끼기 위해서는 단지 육체적 지각 능력인 감각만으로는 가능하지 않고, 지각의 원천이 되는 신기의 능력으로 그것을 보게 된다고 하였다. 그러나 그 원리에 대해서는 설명하기가 어렵다. 그래서 ‘묘(妙)’라는 도가적 표현을 차용하고, ‘신(神)’이라는 수식어를 붙인다.
    기는 형질보다 시간적으로 앞뒤, 그리고 공간적으로 주변으로 형성되며, 감각은 기의 이러한 모습을 포착할 수 있다고 한다. 그리고, 신기는 기보다도 더 멀리 펼쳐지며 더 은밀한 것이다. 신기를 보지 못하는 자를 혜강은 ‘신기의 귀머거리[神氣聾]’라고 조롱하였으며, 형질과 기의 작용이 끝난 다음에 고요히 드러나는 신기의 소리를 듣는 것을 ‘잠청(潛聽)’이라 하였다.
    기와 신기의 차이는, 기는 단지 힘일 따름이지만, 신기는 지각 능력을 갖는다는 점이다. 그리고 신기는 지각된 경험을 기억하는 능력도 있다. 기억의 축적은 지혜를 성장시키지만, 과거가 현재를 왜곡시키기도 한다. 혜강은 신기의 경험 축적도 중요하지만 본바탕의 순수함 또한 중요함을 강조한다. 신기의 순수함은 통하지 않으면서도 통하지 않는 바가 없는 무한의 세계를 함축한다. 이것은 도가나 불가에서 말하는 자성의 깨달음으로 세상 일을 만사형통한다는 초월적 수행론과 일맥상통한다. 이러한 측면은 혜강의 사상이 단지 감각의 경험에 의존하는 경험주의 이상의 초월적 세계를 수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혜강이 불교나 도가를 일면 배척하였지만, 그 초월적 수행론의 측면에서는 상당 부분 수용하고 있다. 이점은 향후 더 적극적으로 탐구되어야 할 부분이다.

    영어초록

    Hyegang Choi Han-gi(1803-1877) was a philosopher at the end of Joseon dynasty, and he achieved the initiative consilience of Eastern Western thoughts critically inheriting traditional thoughts and accepting Western thoughts.
    He was considered as a empiricist emphasizing all investigation should be based on the senses. The core concepts in his philosophical system are Chi(氣) and Shenchi(神氣). Now I bring up the problem how to perceive the Chi and Shenchi through the senses.
    Hyegang divided Chi into two kinds, the first inner material Chi, the second exterior material Chi. The former is live Chi, it can not be found by cutting up the material. It can only be found with the perceiving ability of Shenchi. Then, how can Shenchi perceive inner live Chi? It can not be explained at all. He only explains that principle as Miao(妙) originally which is Taoist term. This is the reason why he attached ‘Shen(神)’, which means mysterious, on the term of Chi. Shenchi spereads before and after, and surroundings of Chi, Hyegang says that the senses can perceive such shape of Shenchi.
    What is the difference of Chi and Shenchi? Chi is only power, meanwhile Shenchi have perceiving ability. Shenchi also have the ability of remembering. Remembering helps the wisdom, but remembrance of past experience could prevent exact present perceiving. So, Hyegang emphasized the purity of Shenchi. Purified Shenchi can communicate everything. This thought is consistent with Taoism or Buddhism. This means Hyegang’s thought is more than empiricism. Henceforth, the remained problem is to prove the relation between Hyegang’s thought and Taoist or Buddhist thoughts as transcendental philosoph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