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다이쇼 시기 일본ㆍ식민지 조선의 민중예술론 : 로맹 롤랑의 ‘제국’ 횡단 (The Theory of the People’s Art of Japan and Colonial Chosun in the Taisho Period - The Crossing of the Empire by Romain Rolland -)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3.05
28P 미리보기
다이쇼 시기 일본ㆍ식민지 조선의 민중예술론 : 로맹 롤랑의 ‘제국’ 횡단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림일본학 (구 한림일본학연구) / 22호 / 33 ~ 60페이지
    · 저자명 : 박양신

    초록

    大正日本の文芸界においては民衆芸術論が広く展開された。本間久雄の「民衆芸術の意義及び価値」から始まったこの議論は、「大正デモクラシー」の基盤となっていた「民衆」の政治への登場を背景としていた。本間によって民衆に対する「教化運動の機関」として提起された民衆芸術の主張は、アナキストの大杉栄によってその意義が旧社会に対する新興階級の「戦闘機関」に転換されることになっていた。この民衆芸術論にはその理論的根拠としてよくロマン・ロランの『民衆芸術論』が援用されていたが、その本がその基底に流れていた生命主義とともに植民地朝鮮にも影響を与えることになる。三・一運動の以後、植民地朝鮮の社会にも「民衆」の政治的登場が注目されるようになった。それを背景にして新聞雑誌などには文学・芸術の民衆化、即ち民衆芸術をめぐる議論が繰り広げられるようになる。1920年代初期の民衆芸術論にはロマン・ロランの民衆芸術論が引用されると同時に、生・人生・生活の次元からの芸術の民衆化が主張される傾向がみられた。一方、1920年代半ばに再び登場した民衆芸術論は以前に比べてロランに依拠する傾向が一層強くなってきていた。これは旧社会に対する闘争の手段としての芸術という闘争性がより強調されるようになったことを意味する。

    영어초록

    The theory of the people's art was widely developed throughout Japanese literary art world from the middle in 1910s to early in 1920s. The people’s art was originally considered the means of educational work for the people, which was raised by Honma Hisao. But the significance of the people’s art was changed into the means of struggle for the newly emerging class against the established old society by an anarchist, Osugi Sakae. Le theatre du peuple by Roman Rolland was sometimes mentioned as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theory of the people’s art. It is just Roman Rolland that influenced on Colonial Chosun with his idea of vitalism.
    The society of Colonial Chosun after The March First Movement paid attention to the political appearance of ‘the people’. Accordingly the discussion regarding the people’s art including popularization of literature and art was developed on the stage of mass media such as newspapers and magazines. The theory of the people’s art in the early 1920s quoted Romain Rolland and tended to insist the popularization of art on the level of human life. The theory of the people’s art reemerging in the middle of 1920s tended to obviously depend on Romain Rolland. It means that in comparison with the early theory of the people’s art, was emphasized the art as means of struggle against the established old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림일본학 (구 한림일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