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滴天髓闡微』 原注와 任鐵樵注의 비교 분석: 「通神論」의 <天道>에서 <配合>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Analysis on Original Annotations (原注) and Im Cheolcho (任鐵樵)’s Annotations in 『Jeokcheonsucheonmi(滴天髓闡微)』 : Focusing on in of 「Tongsinron(通神論)」)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0.09
31P 미리보기
『滴天髓闡微』 原注와 任鐵樵注의 비교 분석: 「通神論」의 &lt;天道&gt;에서 &lt;配合&gt;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85호 / 451 ~ 481페이지
    · 저자명 : 송미규, 김만태

    초록

    『적천수(滴天髓)』의 함의(含意)를 연역(演繹)하는 『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는원문(原文)과 원주(原注), 임철초주(任鐵樵注)로 구성되어 있다. 『적천수천미』는각 항목마다 실제 명조(命造)를 예로 들어 주해(註解)하고 있는데, 그 논의가 명쾌하고 심도가 깊어 『궁통보감(窮通寶鑑)』·『자평진전(子平眞詮)』과 함께 명리학의 3대 원전으로 평가받고 있다.
    지금까지 『적천수천미』의 해석이나 저자에 관한 논의는 많았으나, 원주(原 注)와 임철초주(任鐵樵注)의 미묘한 차이에 대해서는 개략적으로 파악하고 있었을 뿐 자세히 다뤄진 적이 없었다. 원저자인 명대(明代) 초의 유백온(劉伯溫)과청대(淸代) 말의 임철초(任鐵樵)는 그 시대적 간극이 5백여 년이나 되어 그 사상적 차이가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원문과 주해를 통해서 두 저자의 사상적 차이와 이론체계에 대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유학자였던 유백온은 세상 만물이 각자 자신의 위치에서 중도(中道)를 지키고 조화로울 수 있도록 명리학에 유학을 녹여내고자 하였다. 그러나 명리학을통해 명운(命運)의 길흉 해석을 평생 업으로 하였던 임철초는 원문과 원주의 대부분 내용에 공감하면서도 개인이 삶에서 깨달아야 할 명리상(命理上)의 이치에 더욱 초점을 맞추고자 하였다. 이것은 두 사상가의 생애가 그들의 이론체계에 영향을 끼친 결과로 볼 수 있다.
    『적천수천미』 통신론(通神論) 서두 6장에서는 유백온과 임철초 사상의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오히려 유가적 윤리사상과 중화사상의 대의(大儀)를함께하며 임철초가 『적천수』의 이론체계를 발전시키고자 노력한 흔적만이 보인다.

    영어초록

    『 Jeokcheonsuchoenmi(滴天髓闡微)』 that explains implications in 『Jeokcheonsu(滴天髓)』 consists of the original (原文), the original annotations (原注) and Im Cheolcho(任鐵樵)’s annotations. 『Jeokcheonsucheonmi』 annotates each item by using the example of actual citing actual myeongjo (命造) and has been evaluated as one of the top three originals (原典) in the world with 『Gungtongbogam(窮通寶鑑)』 and 『Japyeongjinjeon(子平眞詮)』 because of its clear and in-depth discussion.
    There have been much discussion about interpretations or the author of 『Jeokcheonsu』 until now. However, the subtle distinctions between the original annotations and Im Cheolcho’s annotations have just roughly been understood and have not been particularized. Yu Baekon(劉伯溫) who was the author in the early Ming(明) dynasty and Im Cheolcho(任鐵樵) in the late Qing(淸) dynasty have a high possibility of being ideological differences between them because the time interval is more than five hundred years.
    Thus, this writing compared and analyzed the two persons' opinions with each other through the original and their annotations.
    Examining the orignal annotations of 『 Jeokcheonsucheonmi』 by considering Confucian scholar Yu Baekon's life, he tried to apply Confucianism in Myeongli science so that everything in the world can take a moderate course (中道) and be harmonious in its position. In the annotations of Im Cheolcho who took the auspices of people's fate (命運) as his lifetime job, he mostly agreed with the contents of the original and the original annotations, but he tried to focus on reason in Myeongli (命理上) that individuals have to realize in their lives. This is the result in which the lifetime of those two thinkers influenced their own theoretical system.
    But the initial six chapters of 『Jeokcheonsucheonmi』 「Tongsinron(通神論)」 did not show huge differences in thoughts by Yu Baekon and Im Cheolcho.
    It is rather joining the great cause of Confucian ethical thoughts and Sinocentrism, Im Cheolcho seemed to be putting efforts to develop the theoretical system of 『Jeokcheonsu』.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