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慧諶의 「狗子無佛性話揀病論」 찬술 배경과 내용 분석- 看話十種病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n Writing Background and Contents of Hyesim's 「Gujamubulseonghwa Ganbyeongron(狗子無佛性話揀病論)」- focusing on Ganhwa Sibjongbyeong(看話十種病) -)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8.11
29P 미리보기
慧諶의 「狗子無佛性話揀病論」 찬술 배경과 내용 분석- 看話十種病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철학연구 / 148권 / 183 ~ 211페이지
    · 저자명 : 염중섭

    초록

    慧諶은 崔怡의 무신정권 후원 하에 知訥의 結社道場인 修禪社를 확고한 위상으로 확립하는 중요한 인물이다.
    본고에서는 혜심 선사상이 온축되어 있는 「揀病論」의 배경과 핵심 내용인 十種病을 검토해본 것이다. 이를 통해서 다음의 5가지를 새롭게 인지해 볼 수 있게 된다.
    첫째, 십종병이 혜심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는 점. 이는 혜심이 지눌에게 인정받는 印可과정과, 혜심이 지눌의 遺稿를 간행한 『看話決疑論』, 그리고 「간병론」에서 공통적으로 십종병이 등장한다는 점을 통해서 확인된다.
    둘째, 「간병론」의 찬술은 지눌이 제기한 看話 徑截의 체계적인 발전인 동시에, 혜심의 수선사 내에서의 위상정립을 위한 것이라는 점.
    셋째, 혜심은 「간병론」을 통해서 지눌이 제기한 간화경절의 체계를 확립하려고 했다는 점.
    넷째, 「간병론」의 결과는 宗杲와 지눌이 제기한 깨달음의 보편화를, 실행적인 측면에서 일반화하는 것이라는 점.
    다섯째, 깨달음의 보편화는 최이 무신정권이 요구하는 시대적인 요청과 무관하지 않다는 점.
    이상의 연구접근으로, 「간병론」과 십종병 그리고 수선사 초기의 선불교적인 측면에 대해서 보다 분명한 이해를 수립해 볼 수 있게 된다.

    영어초록

    Hyesim(慧諶) was an important figure that established a firm position of Suseonsa(修禪社), which was Jinul's Gyeolsadojang(結社道場), under the sponsorship of Choi Yi(崔怡)'s military regime.
    This paper reviews the background of 「Ganbyeongron(揀病論)」, in which Hyesim's Zen ideology is condensed, and its core content Sibjongbyeong(10 kinds of disease). With this, we can newly recognize following 5 facts: First, Sibjongbyeong occupied the most important position in Hyesim. It can be confirmed by the fact that Sibjongbyeong commonly occurred in the procedure that Hyesim was trusted by Jinul, in the 『Ganhwagyeoleuiron(看話決疑論)』 a Jinul's posthumous work published by Hyesim, and in 「Ganbyeongron」.
    Second, the publication of 「Ganbyeongron」 was not only for the systematic development of Ganhwa Gyeongjeol(看話 徑截) which Jinul had suggested but also for the consolidation of Hyesim’s position in Suseonsa.
    Third, Hyesim wanted to establish the Ganhwa Gyeongjeol which Jinul had proposed through 「Ganbyeongron」.
    Fourth, the result of 「Ganbyeongron」 was to generalize the enlightenment suggested by Jonggo(宗杲) and Jinul in the practical aspect.
    Fifth, the generalization of enlightenment was not independent from the demands of the time that Choi Yi's military regime had asked.
    With this research approach, we can establish a clearer understanding about the 「Ganbyeongron」, Sibjongbyeong, and the Zen Buddhist aspects of early Suseonsa Er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9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