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아시아 적석단총에 나타난 삼원오행론과 선도제천문화의 확산 (The Idea of the Five Natural Elements of the Three Dimensions(三元五行論) and the Spread of Sundo Heaven Ritual(仙道 祭天) Culture Appeared in the Stone Mound Altar⋅Tomb of East Asia)

8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0.08
82P 미리보기
동아시아 적석단총에 나타난 삼원오행론과 선도제천문화의 확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仙道文化 / 29권 / 9 ~ 90페이지
    · 저자명 : 정경희

    초록

    본고는 동아시아 상고⋅고대문화에 대한 ‘중원계 예제문화’적 시각, 또‘서⋅북방계 샤머니즘’적 시각과 차별화되는 ‘한국계 선도문화’의 시각으로써 동아시아 적석단총제에 나타난 ‘원⋅방⋅팔각’ 상징 및 ‘3⋅7⋅5⋅9 계단수’ 상징의 선도적 의미와 지역적 변화상을 살핀 연구이다.
    선도문화는 삼원오행론이라는 기학적 세계관에 기반한 문화이다. 삼원오행론은 모든 존재의 본질이자 우주의 근원적 생명(氣)인 ‘일기 (一氣)⋅삼기(三氣, 천⋅지⋅인, 원⋅방⋅각)’가 ‘1기⋅3기 ↔ 2기 ↔ 4기 ↔ 8기’의 과정을 거치면서현상화(물질화)하고 현상은 다시 본질의 차원으로 수렴된다는 ‘존재의 생성과회귀’에 관한 인식이다. 이러한 존재의 생성과 회귀 과정은 다양한 상(象)⋅수(數)로 상징화, 배달국시기 단⋅묘⋅총 및 옥기 유적⋅유물에 두루 반영되었다.
    배달국시기 대표 제천시설인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3층원단류)’, 또는 ‘3층-원⋅방-환호’형을 표준으로 하는 적석단총에 나타난 바, 원⋅방및 3층 상징은 천⋅지⋅인(원⋅방⋅각) 삼원사상 및 지감⋅조식⋅금촉 선도수행을 표현한 것이었다. 배달국시기 적석단총제는 단군조선시기 고인돌 단총제와 공존⋅결합하는 방식으로 이어지다가 B.C.3세기 무렵 배달국 적석단총제의 발원처였던 백두산 서편에서 다시 부활, 고구려에 이르러 대표 제천시설로서의 위상을 회복하였고 백두산 서편⋅한반도⋅일본열도에서 크게 성행하였다.
    B.C.3세기 이후 백두산 서편⋅한반도⋅일본열도에서 성행한 적석단총제는 배달국 적석단총제의 원형을 계승하는 한편으로 지역에 따른 다변화의양상을 보였다. 원⋅방 상징 외에 팔각 상징이 나타났고 3층 외에 7⋅5⋅9 계단수 상징이 나타났지만 삼원오행 표상 내에서의 다변화였다. 반면 중원지역에서는 중원사상인 음양오행론에 의한 상징 변형으로 4 계단수 상징이나타났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Sundo(仙道) thought and regional changes of the ‘Circle(圓)⋅Square(方)⋅Octagon(八角)’ symbol and the ‘3⋅7⋅5⋅9 staircase’ symbol in the stone mound altar⋅tomb of the East Asia with the perspective of Korean Sundo culture that is different from the perspective of Chinese ritual culture and the perspective of Western or Northern shamanism.
    Korean Sundo culture is based on the Ki(氣) philosophical worldview called ‘the idea of the five natural elements of the three dimensions(三元五 行論)’. It is the theory on ‘the creation and regression of the being’, that is, ‘One-Three(One Ki氣-Three Ki三氣, Chun天⋅Ji地⋅In人, Circle圓⋅ Square方⋅Triangle角)’ is the substance of all beings and the cosmic life particle, becomes phenomena(materialization) and the phenomena converge again into the dimension of the substance through the process of ‘1⋅3 ↔ 2 ↔ 4↔ 8’. The creation and regression process of the being had symbolized by various statues(象) and numbers(數), and reflected in Altar(壇)⋅Shrine(廟)⋅Tomb(塚) and jade artifacts of Baedalkook(倍達國).
    The ‘Circle⋅Square’ symbol and the ‘3 staircase’ symbol of the representative Heaven Ritual facility of Baedalkook, ‘the hilly Heaven Ritual facilitiy with a moat(‘three layer-circle⋅square-moat’ typed stone-mound altar⋅tomb)’, was the expression of the theory of One-Three一⋅三(One Ki-Three Ki, Chun⋅Ji⋅In, Circle⋅Square⋅ Triangle), the core onthology of Korean Sundo and Jigam(止感)⋅Josig(調 息)⋅Geumchog(禁觸) Sundo discipline.
    The stone-mound altar⋅tomb system during Baedalkook period led to the coexistence and combination with the Dolmen system during Dangun Joseon(檀君朝鮮) period. By the third century B.C., it was resurrected in the west side of Mt.Baekdu(白頭). In Goguryeo(高句麗), it regained its status as a representative Heaven Ritual facility, and was prominent in the west side of Mt.Baekdu, Korean Peninsula, and Japanese archipelagos.
    Since the third century B.C., The stone-mound altar⋅tomb system in the west side of Mt.Baekdu,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archipelago succeeded the original form of Baedalkook and showed some diversification within ‘the idea of the five natural elements of the three dimensions’. In addition to Circle(圓)⋅Square(方) symbol, Octagon(八角) symbol appeared newly. Also in addition to 3 staircase symbol, 7⋅5⋅9 staircase symbol appeared newly. On the other hand, ‘4 staircase symbol’, the deformation form by the theory of ‘the five natural elements of Yin and Yang(陰陽五行論)’ had appeared in China.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仙道文化”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