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 근대의 불교가 이노우에 엔료의 활불교에 대하여 - 『불교활론서론』의 활불교를 중심으로 - (n the Study of the concept of Reviving Buddhism from Inoue Enryō's Bukkyou - katsuron - joron (佛敎活論序論) in Modern Japanese Buddhism)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6.09
27P 미리보기
일본 근대의 불교가 이노우에 엔료의 활불교에 대하여 - 『불교활론서론』의 활불교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27호 / 69 ~ 95페이지
    · 저자명 : 이태승

    초록

    메이지유신으로 시작되는 일본근대의 불교계는 메이지 초기 신불분리령에 의한 불교탄압 즉 폐불훼석으로 막대한 타격을 입었다. 이 폐불훼석은 천황중심의 신국가 건설과 관련된 신도중심의 종교이념이 결부되어, 불교계는 가히 상상할 수 없는 종교적 탄압을 경험하였다. 그렇지만 이러한 탄압에 대해 불교계의 반성과 새로운 시대에 부응하고자하는 노력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그러한 노력의 결과 중의 하나가 갖 설립된 도쿄대학(1877년 설립)에 1879년 <불서강의>의 강좌가 개설된 것이다. 이 강좌는 후에 인도철학의 이름으로 지속되어 불교계의 학문적 성과를 드러내는 중요한 계기를 만들었다. 이러한 상황속에서 불교학의 학문적 성과를 드높이고, 사회적으로 탄압받던 불교에 대해 새로운 이해의 계기를 마련해 불교부흥의 길로 나아가게 한 대표적인 사람이 이노우에 엔료이다 특히 그가 저술한 『불교활론서론』은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어 일본 사회에서 불교가 새롭게 부흥하는 기틀을 제공하였다. 이 『불교활론서론』을 통해 엔료의 활불교의 개념을 살펴보면 그가 서양철학의 입장에서 불교를 재검토하는 것, 기독교의 문제점 검토, 불교 자체의 성격에 대한 분명한 정의의 세 방향에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세 방향은 후에 각각 『파사활론』, 『현정활론』, 『호법활론(활불교)』의 저술을 통해 더욱 세밀하게 고찰해 간다. 이 『불교활론서론』이 저술되던 시점에서 엔료의 입장을 살펴보면, 엔료는 전통종교로서 불교철학에 대한 가치를 재발견한 것을 명백하게 밝혔다고 할 수 있다. 곧 자신이 어려서부터 몸담았고 진리가 아니라고 생각한 불교의 가르침에 대해 서양철학에 대한 연구의 결과 내지는 서구 기독교에 대한 연구 결과 불교의 가르침이 진리에 부합하고 온전한 종교로서 가치가 높다는 것을 분명히 하고, 따라서 현재 사물시(死物視)되는 가르침에 활기를 불어넣어 참된 진리가 현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 활불교의 이념에 담겼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활불교의 이념은 후대로 갈수록 사불교와 대립적으로 쓰이는 것을 볼 수는 있지만, 활불교의 정신을 통해 불교가 진리의 가르침으로서 사회 속에서 도덕적 윤리적 역할을 다해야 한다는 뜻이 담겨 있다고 생각된다. 엔료의 이러한 불교에 대한 가치의 재발견과 재활의 노력은 메이지유신 이후 침체되었던 불교계에 철학적 종교적으로 불교의 부흥을 꾀한 것으로, 불교가 일본 사회는 물론 동아시아 내지 서구제국에 그 철학적 가치를 전하는데 중요한 토대를 만들어주었다.

    영어초록

    During the early Meiji Restoration, Japanese Buddhist institutions were in the midst of the devastation by persecution, the confiscation of property, and the withdrawal of national patronage under the Shinto-centered religious policies of the Meiji government known as Haibutsu-gishaku (廢佛毁釋), or “abolishing Buddhism and destroying Shākyamuni.” During this difficult times of strife for Japanese Buddhism, many attempts were made by Japanese Buddhists to overcome their difficult conditions. Among the Japanese Buddhists striving to persevere, the most important person was Inoue Enryō (井上圓了, 1858-1919), who made an important role for contributing to the revival of Buddhism by means of his writings - especially the contents of his work, Bukkyou-katsuron-joron, which influenced many Japanese Buddhists to interpret Buddhist philosophy correctly and with a sense of pride. Inoue Enryō examined the philosophy of Buddhism from the three viewpoints: the investigation of Buddhist Philosophy from the viewpoint off the Western Philosophy, the examination of the teachings of Christianity from the viewpoint of seeking-truth, and the confirmation of the justification of Buddhist philosophy from the viewpoint of truth.
    After Inoue Enryō examined the three viewpoints of Buddhist Philosophy in the Bukkyou-katsuron-joron, he elaborated on the three viewpoints, respectively, in three additional books: Hasha-katsuron (破邪活論), Genjou-katsuron (顯正活論), and Kouhou-katsuron (護法活論; and later Gatsu-bukkyou, 活佛敎, published time). Reviewing at the time of the publication of the Bukkyou-katsuron-joron in 1887 (Meiji 20), Inoue Enryō tried to make clear the value of the Buddhist philosophy including the thoughts and traditions of Japanese Buddhism. Owing to the important role of Inoue Enryō in the difficult times of Japanese Buddhism during the early Meiji era, Buddhist thought was revived and studied more systematically through many other Buddhist institutions. Inoue Enryō also founded the Toyo University (東洋大學; first originally 哲學館) based on the Buddhist philosoph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