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계몽기 석정 이정직의 시학과 시론 체계- 「與李元瑞論詩說」을 중심으로 - (A Poetry and System of Theory of Seokjeong Lee Jung Jik in the Modern Enlightenment - Centering on ‘Yeoiwonseononshisul(與李元瑞論詩說)’-)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8.12
30P 미리보기
근대계몽기 석정 이정직의 시학과 시론 체계- 「與李元瑞論詩說」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學報 / 39권 / 1호 / 141 ~ 170페이지
    · 저자명 : 이승용

    초록

    본고에서는 석정 이정직의 시학에 대한 언급을 분석하고 그의 시론 체계로서의 평담론을 밝혔다. 석정은 詩文에 매우 능통한 근대계몽기 지식인이요 교육자이다. 그의 유고인 연석산방시문고 에는 시학에 대한 그의 생각이 산재되어 있으며, 두 편의 「論詩文」과 한 편의 「論詩說」이 실려 있다.
    석정의 시학은 시 창작에 중심을 두어 定義, 方法, 風格의 측면에서 좋은 시란 무엇인가? 왜 법고인가? 어떠한 경지를 추구할 것인가에 대해 논하였다. 시론 체계는 2장에서 언급한 시학 이론을 바탕으로 「與李元瑞論詩說」을이법을 통한 字從辭順의 구현, 변증을 통한 奇峭濃至의 수용, 법고의 과정을거친 平典淡雅로 분석하여 평담론을 설명하였다.
    첫째, 자종사순과 이법에서는 기초농지를 통한 기교 이전에 기본적으로갖추어야 할 사항으로 자종사순을 통한 條暢易讀을 학습자에게 권장한다.
    둘째, 기초농지와 변증에서는 석정은 타고난 본성이 雄渾하고 超逸한경우와 노력을 통해 성취할 수 있는 평담론을 비교 설명한다. 특히 석정이말하고 있는 평담은 新奇나 纖巧와 같은 요소를 일방적으로 배제하지 않은 ‘평담 너머 평담’이다.
    셋째, 평전담아와 법고에서는 석정의 평담론을 평담에 이르는 과정과 지향점인 典雅의 모습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이는 먼저 현시대로부터 가까운시인을 학습하여 거슬러 올라가는 法古, 식견으로 辨證하는 과정을 거쳐새로운 조화의 모습을 창출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새로운 변화의 묘미가전아이다.
    요약하면 석정의 시문집 연석산방시문고 에 담긴 시학 이론들은 「논시설」을 통해 하나의 시론으로 정립된다. 그 시론 체계인 평담론은 자종사순을 기본으로 하고, 기초농지가 내포된 법고의 길을 통해 변별하고 융합하고 정련하는 일련의 절차를 거쳐, 그 묘미가 전아에 이르는 창작 방법론이다. 이러한 석정의 시론은 기본적으로 창작을 위한 學詩의 과정이며, 법고를 지향한 노력이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In this thesis, we analyzed the references to Seokjeong Lee Jung-jik's poetry and expressed his discourse as a system of theory, Pyeongdam Theory(平淡論).
    Seokjeong is a very skilled modern Enlightenment intellectual and an educator who is very good at poetry. His posthumous work, [Yeonseoksanbang-poetry and prose], has his ideas about poetry, and contains two articles of "Discuss Poems and Sentences(論詩文)" and one of "A Poetical Argument(論詩說)." Seokjeong's poetry was based on the creation of poems and discussed the meaning of good poetry, the reasons for learning good old writings, and what we are going to pursue in terms of definition, method, and the level that poetry pursues(風格).
    In system of theory, based on the poetic theory mentioned in Chapter 2, he analyzed ‘Yeoiwonseononshisul(與李元瑞論詩說)’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 correct order of sentences(字從辭順), acceptance of brilliant expressions (奇峭濃至) through excuses, and Pyeongjeondamea(平典淡雅) which follow the dictates of the good of the past(法古) to explain the system of Pyeongdam Theory(平淡論).
    First, It is recommended that learners use a sentence that is in the order of words(字從辭順) to make it easier to read(條暢易讀), as basic things that must be done before the art of fancy expression in sentences that fit the order of words(字從辭順) and reasoning.
    Second, in flamboyant expressions(奇峭濃至) and excuses, Seokjeong explains in comparison with the grand(雄渾) and transcendent(超逸) innate and Pyeongdam Theory(平淡論) that achievable through effort. In particular, Pyeongdam which Seokjeong reference is a high-level of Pyeongdam that does not unilaterally exclude weird(新奇) or subtle(纖巧) elements.
    Third, In Pyeongjeondamea(平典淡雅) and following the dictates of the good, Pyeongdam theory(平淡論) of Seokjeong is explained in detail with a process leading up to Pyeongdam and elegance, which is the point of the theory. This is to create a new image of harmony through the process of learning a poet who is close to the present era and making excuses through insight. And the beauty of the new change is the gracefulness(典雅).
    In summary, the poetry theories contained in the Seokjeong’s work [Yeonseoksanbang-poetry and prose] are established as a theory through "A Poetical Argument(論詩說)." Pyeongdam theory(平淡論), the system of theory, is a creative method that based on sentences that are in sequence in the order of words(字從辭順), followed by a series of procedures to distinguish, integrate, and refine ancient writings using colorful expressions(奇峭濃至). This theory of Seokjeong is basically a process of learning poetry to create a work, and is an effort to imitate a good old wor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文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6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