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몽골 복속기 立省論의 구성 과정과 맥락: 초기의 立省 관련 논의를 중심으로 (Context and the Process of Constructing Ipseong-ron(立省論) during the Period of Goryeo’s Submission to the Mongol Empire)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1.12
41P 미리보기
몽골 복속기 立省論의 구성 과정과 맥락: 초기의 立省 관련 논의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학보 / 252호 / 121 ~ 161페이지
    · 저자명 : 이명미

    초록

    立省論은 일반 행성과 차이를 보이는 정동행성을 원 內地의 행성과 동일한 형태로 만들자는 논의로, 몽골과의 관계 속에서 수차례 제기되었다. 이들은 부원세력에 의해 제기된, 고려의 국체를 부정하는 논의로 이해되어 왔다.
    이 연구에서는 초기의 입성 사례 및 관련 논의를 분석하여, 이러한 논의가 시작된 과정과 맥락, 그리고 애초에 고려 국체를 부정하는 내용을 포함하지 않았던 입성이라는 것이 그러한 내용을 포함하게 되는 과정과 맥락을 추적하였다.
    1309년 홍중희가 제기한 입성론은 당시 무종이 즉위하는 과정에서 공을 세우고 황제와의 개인적인 관계를 기반으로 급부상하던 충선왕의 세력을 견제하고자 한 것이었다. 이를 위해 즉위 후에도 원에 체류 중이던 충선왕의 환국을 도모하고자 하는 과정에서 이전의 입성 사례(闊里吉思, 1299) 및 입성 관련 논의(王璋, 1308)로부터 영감을 받아 입성론의 내용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내용의 구성은 이후 입성론들에도 다른 맥락에서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영어초록

    In relations with the Mongol empire, Ipseong-ron(立省論), the argument to install and operate Jungdong Haengsung(征東行省) as in Yuan China was raised several times in Goryeo Dynasty. These arguments have been regarded as a logically raised discussion based on the special form of Jungdong Haengsung, which originally denied the identity of the Goryeo ‘state’.
    This study analyzes the initial cases of 立省 and 立省論, and tracked the context and process of such arguments’ construction. In 1309, Hong Joong-hui(洪重喜) raised the 立省論 to keep King Chungseon(忠宣王) in check, who made a contribution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Qaishan[武宗] as emperor. Hong Joong-hui wanted the return of King Chungseon, who had great power based on his relationship with the emperor staying in Yuan, to his country Goryeo. In this process, he gained clues from previous cases of 立省 and related discussions such as Hwalligilsa(闊里吉思)’s case in 1299 & Wang Jang(王璋, 忠宣王)’s case in 1308 and constructed the contents of his 立省論 including the articles such as ‘the elimination of the state name[削國號]’, which is repeated in different contexts in subsequent 立省論.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