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석마하연론(釋摩訶衍論)』의 식(識)에 대한 독창적인 관점-일체일심식, 10아리야식, 11말나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Original Interpretation of Consciousness in the Shi moheyan lun 釋摩訶衍論)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9.03
25P 미리보기
『석마하연론(釋摩訶衍論)』의 식(識)에 대한 독창적인 관점-일체일심식, 10아리야식, 11말나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불교학연구 / 58권 / 89 ~ 113페이지
    · 저자명 : 김지연

    초록

    『석마하연론』은 『대승기신론』의 주석서 가운데 하나로, 새로운 용어를 만들어 독자적인 이론을 정립하는 해석적 특징을 보인다. 『석마하연론』의 독창적인 관점은 세 가지 『능가경』의 식에 대한 해석에서도 드러난다. 우선, 『능가아발다라보경』의 현식과 『입능가경』의 요별식을 현상아리야식으로 정의한다. 현상아리야식은 『석마하연론』이 창안한 열 가지 아리야식 중 하나로 『능가경』의 현식과 요별식을 아리야식으로 이해하는 『석마하연론』의 관점을 표출한다.
    다음으로, 『능가경』의 분별사식을 거친 분위의 의식과 미세한 분위의 말나식으로 이해하여, 『능가아발다라보경』의 진상과 『입능가경』의 지상식이 말나식이라고 설명한다. 말나식을 인정하는 것은 원효의 해석과 동일하지만, 지상식을 아리야식이 아닌 말나식으로 이해하는 것은 『능가경』이 나타낸 의미와는 다르다. 한편, 『석마하연론』은 새로운 시각에서 말나식을 근본무명과 다섯 가지 불각상-식의 열한 가지로 명칭화한다.
    그러나 『석마하연론』의 독창적인 심식설인 열 가지 아리야식과 열한 가지 말나식은 업상업식・전상전식・현상현식의 영역을 공유하게 되는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서로 다른 아리야식과 말나식이 동일한 지위에 놓이게 되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석마하연론』은 ‘하나의 식을 세워 모든 식을 총섭’하는 ‘하나의 식’이라는 이론과 ‘일체일심식’을 설정한 것으로 추론된다. 이에 근거한다면 아리야식과 말나식이 각각 열 가지와 열한 가지로 세분화 될 수 있고, 일체일심식에 아리야식과 말나식을 포함시켜 두 식을 동등한 위치에 놓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독창적인 심식설을 통해, 『석마하연론』은 아리야식과 말나식에 대한 자신의 이해를 표명함과 동시에 다른 논서와의 해석상의 상충을 해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새로운 이론을 정립하여 자신의 논리상의 모순을 해결하고 논리적 타당성을 부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Shi moheyan lun (abbreviated as Shilun) is one of the commentary on the Awakening of Mahāyāna Faith. The creativity of the Shilun is shown in the explanation of three consciousness of the Laṅkâvatāra-sūtra. Following the analytical characteristics of its arguments, First, the Shilun defines the manifesting consciousness and the ‘consciousness which discern object’ of the Laṅkâvatāra-sūtra as the objective world-ālayavijñānas that included in ten ālayavijñānas which is made by Shilun.
    Next, the Shilun divides the 'phenomena-discriminating consciousness' into the mano consciousness and the manas, and matches the latter to the real consciousness 眞識 and zhixianshi 智相識 of the Laṅkâvatāra-sūtra. Moreover, the Shilun classifies the manas into eleven from its original point of view.
    However, it occasioned a problem because the eleven manases are to be overlapped with the ten ālayavijñānas in the mark of karma, subjective perceiver, and objective world. Therefore, it seems that the Shilun tries to solve that trouble by producing the new theory and the one consciousness that includes everything. Based on this, the ālayavijñāna and the manas could be separated into ten and eleven, and they could be equalled by including both in the one consciousness that includes everything.
    Through this, it could be inferred that the Shilun expresses own perspective on the ālayavijñāna and the manas, and, at the same time, resolves the conflictive interpretation with others. In addition, it could be seen that a new theory is established to solve the contradictions of its own logic and to give logical valid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