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식(蘇軾)의 중용(中庸)이론 연구 -가우(嘉祐) 6년(1061) 책론(策論) 50편을 중심으로- (Research on Su Shi's Theory of the Doctrine of the Mean: Focusing on the 50 Political Essays(策論) in the 6th Year of Jia You(嘉祐, 1061))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4.12
28P 미리보기
소식(蘇軾)의 중용(中庸)이론 연구 -가우(嘉祐) 6년(1061) 책론(策論) 50편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태동고전연구 / 53권 / 187 ~ 214페이지
    · 저자명 : 차영익

    초록

    이 본문은 소식의 중용사상을 책론(策論) 50편을 중심으로 규명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책론 50편은 소식이 26세 때 전시에 응시하기 위해 제출한 50편의 논문이다. 정치와 역사에 대한생각이라고 할 수 있는 이 글들의 중심부에 「중용론(中庸論)」 3편이 언급되고 있다. 논자는 정치론과 역사론에 바탕하여 그의 중용이 어떤 의미를 지니고 어떤 특징을 지니는지 규명하고자 한다.
    이 글에서 소식은 중용의 근거인 성(誠)을 본성론이 아니라 인정(人情)의 측면에서 해석한다. 북송당시 성명론(性命論)이 체계를 잡아가는 상황에서 인정론(人情論)에 기반한 성의 해석은 중용을 형이상학적 담론보다는 실천적인 특성을 가지게 했다. 실천이 전제된 성의 해석은 대신이 갖추어야 할 덕목으로 발전하고 도덕적인 세계보다 훨씬 활발(活潑)한 세계로 열어놓았다고 할 수 있다.
    소식은 또 성인의 도를 실천하는 데 있어 성만으로는 부족하다고 여기고 중용도 필요하다고보았다. 중용을 성인의 도를 이루는 일종의 방법으로 간주했다. 다시 말하면 과불급이 없는 상태뿐만 아니라 권도(權道)도 필요하다고 주장한 것이다. 따라서 소식은 끊임없는 상황의 변화 속에서 중을 찾아가는 주관적인 기준을 중시한다. 이러한 주관적인 기준 때문에 군자의 중용과 소인의중용이 있게 되는데, 공자와 맹자는 이것을 향원(鄕愿)이라고 불렀다. 이런 향원을 식별하는 능력도 성인의 도에 나아가는 하나의 과정으로 설정했다.
    책론 50편은 소식의 초기 경학사상과 정치론을 밝히는데 중용한 텍스트이면서, 소식의 문학의이론적 근거가 되는 인정에 대한 생각이 드러나기 때문에 앞으로 깊이 있는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elucidate Su Shi(蘇軾)'s concept of the Zhongyong (中庸, Doctrine of the Mean) thought, focusing on fifty political essays(策論). These fifty politicalessays were written by Su Shi at the age of 26(1061) as part of his submission for the imperial examination. At the core of these writings, which can be considered reflections on politics and history, are three essays on the Zhongyong. This author aims to elucidate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his concept of Zhongyong, based on political theory and historical theory. In this paper, this author interprets the core concept of cheng(誠), a key category in the Zhongyong, not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nature(性), but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emotions(人情). During the Northern Song period, when Neo~Confucianism, based on human nature, was being systematized, Su Shi's interpretation of cheng(誠) based on the theory of emotions can be seen as expanding the meaning of the Zhongyong into the realm of practical application.
    The interpretation of cheng(誠) as something grounded in practice is expressed as a virtue that ministers must possess. Furthermore, cheng(誠) leads people not through the difficult moral world that is hard to practice, but along a path that is much easier to practice in everyday life.
    Su Shi believed that cheng(誠) alone was not enough to practice the way of the sage; the zhongyong(中庸) was also necessary. He regarded the Doctrine of the Mean as a kind of method for achieving the way of the sage. In other words, Su Shi argued that not only is a state free from excess and deficiency(過 不及) necessary, but the principle of balance and appropriateness(權道) is also required. Therefore, Su Shi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 subjective standard that seeks the “mid dle way”(中道) amidst the constant changes of circumstances.
    Due to this subjective standard, there exists a distinction between the “middle way” of a gentleman(君子) and that of a petty person(小人). Confucius(孔子) and Mencius(孟子) referred to this as xiangyuan(鄕原). Su Shi also regarded the ability to discern xiangyuan(鄕原) as part of the process toward achieving the way of the sage.
    The fifty political essays are key texts for understanding Su Shi's early Confucian thought and political theory. They also reveal his ideas on human emotions, which serve as an important theoretical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his literature. Therefore, further research is need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8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