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明皛 『해인삼매론』의 화엄사상과 밀교적 특성 (A Study of the Avataṃsaka Thought and Esoteric Characteristics of the Treatise on the Sāgara-mudrā-samādhi(海印三昧論) written by Master, Myeonghyo)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09.11
44P 미리보기
明皛 『해인삼매론』의 화엄사상과 밀교적 특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55호 / 133 ~ 176페이지
    · 저자명 : 이정희

    초록

    8세기 초의 문헌으로 추정되는 명효의『해인삼매론』은 『화엄경』의 십지
    품에 의거, 그 요의를 간추려 도송을 만들고 의미를 해석한 매우 특이한 형
    태의 논문이다. 형식상 의상의 법계도와 유사점이 있지만 내용면에서는 많
    은 차이점이 발견된다. 화엄의 要義와 圖頌이라는 점에서는 두 게송이 일치
    하지만 그 사상적 기초나 화엄적 관점은 서로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의상의 법성게는 法性으로 시작하여 佛로 끝나는 向下的 성기론의 관점
    이 반영되어 있지만 해인삼매도의 頌은 생사로 시작하여 열반으로 끝나는
    向上的 연기의 성향을 보여준다. 즉 법성게는 불보살이 중생을 제도하는 果
    상의 緣起이지만 『해인삼매론』은 중생이 열반으로 향해가는 因상의 緣起라
    고 할 수 있다.
    법성게는 초발심시가 곧 정각이라는 頓修에 기초하고 있지만 『해인삼매
    론』의 向上이라는 실천적인 면은 매우 구체적이고 漸修的이다. 이러한 특성
    을 지닌 『해인삼매론』은 어떠한 교학적 관점에 근거하고 있는가.
    먼저 『해인삼매론』은 해인삼매에 일체계경의 要義와 제불의 공덕이 포함
    되었다고 설명한다. 이것은 곧 다라니로 표현되고 있다. 이 다라니는 다시
    法과 義, 그리고 三大라는 『기신론』의 구조로 해석된다. 다만 『기신론』의
    대 승 이 다라니로 바 뀐 것뿐이다. 그러나 그 내 용 에 있어서는 서로다르다. 『기신론』은 대승을 法과 義로 나누어, 法은 중생심이고 義는 體․
    相․用 三大라고 말한다. 법은 본체이고 의는 법의 작용이라는 말이다. 그
    러나 『해인삼매론』은 법이 체․상․용 삼대이고, 의는 대승원교의 妙義와
    제불의 秘密法藏이라고 『기신론』과 다르게 해석한다. 이것은 『해인삼매론』이 법과 의를 모두 작용적인 면, 곧 실천성으로 파악하고 있다는 것을 보
    여주는 것이다. 이로써 『해인삼매론』은 실천적인 문헌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해인삼매론』에 나타난 이와 같은 실천적인 면들이 실제로 밀교와 관련
    이 있다는 것은 매우 흥미로운 일이다. 『해인삼매론』에서 이러한 실천성은
    懺法的 성격으로 구체화되어 있다. 『해인삼매론』은 願을 발하여 삼보를 공
    경하고, 죄장을 참회하여 번뇌를 끊으며, 성인의 가르침에 따라 끊임없이
    수행할 것을 권한다. 이는 화엄사상에 밀교의 의궤를 융합한 일행의 『화엄
    경해인삼매참의』의 참법구조와 매우 유사하다.
    해인삼매도인의 讀詩방향은 밀교적 성격을 더욱 뚜렷하게 보여준다. 법계
    도인의 독시 방향은 중앙에서 시작하여 오른쪽으로 돌아 출발점에서 끝나
    지만, 해인삼매도인의 독시 방향은 이와 반대로 왼쪽으로 돌아 다시 출발점
    으로 회귀한다. 이것은 밀교의 금강계 만다라가 보여주는 左旋은 향상, 右
    旋은 향하라는 실천 방향과 일치한다.
    또 『해인삼매론』은 이 법문을 통하여 소원을 성취하고 작은 방편으로 큰
    이익을 얻게 한다고 하여 圖印頌을 밀교의 비밀주와 같은 성격으로 규정하
    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내용 중 도인송의 身心成佛은 밀교의 卽身成佛을
    시사하고 있으며 비밀법장 또한 밀교 경전을 지칭한다는 것을 부인하기 어
    렵다. 이와 같이 『해인삼매론』은 화엄의 핵심적인 내용을 천명하고 있지만
    밀교적 요소가 강하게 반영된 특이한 문헌이라 하겠다.
    이런 점으로 볼 때, 이 논문을 단순한 화엄계통의 저술이라고 판단하는
    것은 매우 성급한 일이라고 생각된다. 즉 『해인삼매론』은 당시에 찬술된 다
    른 문헌과는 달리 화엄과 밀교를 융합한 독특한 성격의 문헌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해인삼매론』의 찬술은 당시에 매우 드문 일로서 그 사상사적인 가
    치는 한국불교사에서 새롭게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Treatise on the sāgara-mudrā-samādhi(海印三昧論) is a very
    unique literature, considered to be a classic work in the early 8
    century A.D. It condensed the content of the Avataṃsaka Sūtra(華嚴
    經) based on the chapter of ten bodhisattva stages (十地品), and
    wrote a verse, giving explanations on its contents. Though it is
    similar to the Dharma-world Chart (法界圖)’ of Uisang (義湘:
    625-702 A.D.) in form, there are many differences between the two
    in content.
    In terms of the content and the verse based on the Avataṃsaka
    Sūtra, the two verses (偈頌) are same, but different each other in
    terms of its ideological background and viewpoint on flower
    adornment thoughts. The Dharma-world Chart of Uisang reflects the
    View of Arising from the Original nature (性起論), stepping from the
    state of Dharma nature (法性) to Buddha.The verse of The Treatise on sāgara-mudrā-samādhi contains the
    feature of Dependent Arising (緣起) stepping upward from the state
    of life and death to Nirvana. To be more specific, the Verse of
    Dharma nature (法性偈) is based on results (果) of dependent arising
    that Buddhas and bodhisattvas aim to liberate sentient beings while
    the sāgara-mudrā-samādhi is rooted in cause (因) of dependent
    arising that sentient beings may direct their way to Nirvana.
    The verse of Dharma Nature keeps a position of Sudden
    Cultivation (頓修), meaning the directly achieving enlightenment at
    the first arousal of determination for enlightenment. However, the
    practical aspects of the sāgara-mudrā-samādhi are very concrete,
    having the feature of Gradual Cultivation (漸修). Then, on what
    religious ideology is this Ocean Seal Samadhi based?
    Firstly, The Treatise on the sāgara-mudrā-samādhi explains that
    the core meanings of all the Buddhist scriptures and every merit and
    virtue of all Buddhas contain in the sāgara-mudrā-samādhi which is
    defined as dhāraṇī. Dharani is construed based on the structure of
    arising from the original nature that includes Dharma (法), doctrine
    (義) and the Three kinds of Greatness (三大). Though this means
    that Mahayana of arising from the original nature is changed to
    dhāraṇī, the both have differences in contents. The theory of arising
    from the original nature classifies Mahayana into two concepts,
    Dharma and doctrine; Dharma is the mind of sentient beings (衆生
    心) and doctrine is the Three kinds of Greatness, comprising ofSubstance (體), Appearance (相) and Function (用). In other words,
    Dharma is a basic substance while doctrine is a function of Dharma.
    However, comparing to that of arising from the original nature, the
    sāgara-mudrā-samādhi asserts a different viewpoint that Dharma is
    the same as the Three kinds of Greatness; Substance, Appearance
    and Function while doctrine means esoteric doctrine (妙義) of
    original Mahayana Buddhism and esoteric Dharma treasures (秘密法
    藏) of all Buddhas. Such explanation clearly indicates that
    The Treatise on the sāgara-mudrā-samādhi interprets Dharma and
    doctrine as an aspect of operation or a practical viewpoint. In view
    of this, it can be clearly concluded that The Treatise on the
    sāgara-mudrā-samādhi is a work of practicability in its entirety. In
    the meantime, it is very interesting that the practical viewpoints
    indicated as above in the sāgara-mudrā-samādhi have close relations
    with the Esoteric Buddhism (vairayāna: 密敎).
    Practicability in the sāgara-mudrā-samādhi transforms in detail as
    a kind of confession ritual. According to the sāgara-mudrā-samādhi
    it is highly recommended to revere the Three treasures (triratna:三
    寶) with sincere aspiration and to cut off delusions by confessing the
    barrier of sin (罪障), and to practice without cease, following the
    teachings of the saints. This implies close similarities with Dharma
    structure of the Rules for Confession Ritual of the sāgara-mudrā-samādhi
    in the Avataṃsaka Sūtra(華嚴經海印三昧懺儀) written by monk,
    Ilhaeng (一行:?-727 A.D.) which is merged by both the Avataṃsakathoughts and norm (儀軌) of the Esoteric Buddhism. Reading direction
    of the sāgara-mudrā-samādhi Chart shows clear characteristics of the
    Esoteric Buddhism. Reading direction of the Chart of Dharmadhātut
    starts from the center and turning to the right, ends at the starting
    point while the Chart of the sāgara-mudrā-samādhi takes reverse
    direction, turning to the left and coming back to the starting point.
    This exactly accords with a guide for practice to move upward and
    downward in mandala of diamond element universe (vajradhātu: 金剛
    界), turning to the left and the right afterwards. The theory of the
    sāgara-mudrā-samādhi considers the Chart-verse as mantras(眞言)
    or spell (呪) since this verse of Dharma (法文) enables us to make
    our wishes accomplished and to get a great benefit by a small
    expedient.
    According to the Chart-verse, attainment of Buddhahood through
    body and mind (身心成佛) indicates attainment of Buddhahood with
    this very body (卽身成佛), which seems to point out esoteric Dharma
    treasure and sūtras of the Esoteric Buddhism as well. Considering the
    facts explained as above, The Treatise on the sāgara-mudrā-samādhi
    expressly shows the core content of flower adornment thoughts but
    at the same time it is an extraordinary treatise emphasizing the
    element of the Esoteric Buddhism.
    Therefore, it could not be appropriate to conclude that the treatise
    is a work which belongs to the Avataṃsaka tradition because it has
    unique characteristics in which the Avataṃsaka thought and theEsoteric Buddhism harmonize with. Furthermore, publication of thhe
    Treatise on the sāgara-mudrā-samādhi was quite rare at that time
    and accordingly the real worth of this treatise in the history of
    religious thoughts should be newly evaluated in the Buddhist history
    of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8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