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節要私記』와 『看話決疑論』에서의 간화선 법문과 그 문제점 (The Problem of Ganwha-Sŏn doctrine in Jeolyo-sagi(節要私記) and Ganhwa-gyoul-yeu-lon (看話決疑論))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2.12
28P 미리보기
『節要私記』와 『看話決疑論』에서의 간화선 법문과 그 문제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진단학회
    · 수록지 정보 : 진단학보 / 116호 / 1 ~ 28페이지
    · 저자명 : 박건주

    초록

    진각혜심이 보조지눌의 저서『절요사기』의 4곳을 위조하여 끼워 넣은 간화선 법문은 본서의 취지에 어긋나는 것이며, 궁극의 선법으로 제시된 無心禪의 선지에 의하면 간화선은 오히려 그 행을 방해하는 것이고, 화두를 들 필요도 없게 되며, 그렇게 되지도 않는다.『普照碑銘』에 보조가 평생 폈다는 3종문 가운데 최상의 위치로 제시된 경절문과 그것을 사실로 포장하기 위해『대혜어록』을 읽다가 최후의 깨달음을 얻은 것인 양 기술한 것도 그 건립을 주도한 진각혜심에 의해 조작된 것이다. 혜심에 의해 보조의 유작으로 제시된『간화결의론』은 함께 발견된『원돈성불론』의 주요 부분을 발췌하여 인용하고 그 다음에 그 선법들 또한 知解의 병이 남게 되기 때문에 결국 화두를 들고 간화선을 행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하였다. 이러한 수법은 대혜종고가 했던 것을 그대로 따른 것으로 이로 인해 간화선은 종래의 여타 선법보다 더 뛰어난 것으로 인식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실제의 修證上에서는 그렇지 않다. 깨달음에서 처음 知解가 남아 있지만 완숙되어감에 따라 자연히 知解가 녹아 사라지게 되어 있다.『능가경』에서 설한 바와 같이 如如의 행이 보살초지에서 佛位까지 이어진다. 여기에 화두를 疑情으로 드는 행은 如如行의 뜻에 어긋난다. 위조의 행위는 중국 古來로 있어왔고, 특히 남종, 그 중에서도 看話禪家에게 그러한 행위가 많았다. 그 이유는 간화선의 당위성과 정통성이 없었고, 떳떳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당시 교종의 거센 반발을 받고 있던 고려 무신정권이 불교계를 장악하기 위해 새로 들어 온 간화선을 현창하고 지원해줌으로써 불교계를 주도하게 된 것으로 본다. 진각혜심과 수선사에 대한 무신정 2권의 다방면에 걸친 지속적인 지원도 그러한 면에서 이해될 수 있다.

    영어초록

    Jingak-Hyesim(眞覺慧諶) fabricated and inserted Ganwha-Sŏn(看話禪) passages in Jeolyo-sagi(節要私記)’s four places. In that aricle Bojo-Jinul(普照知訥) advocated the importance of ‘Equal Practice of both Dhyana-Wisdom’, and indicated the ‘no raise mind Sŏn-practice’(無心禪) as ultimate way of Sŏn, and set a high value on a ‘Hataek-sinhwe(荷澤神會) Sŏn-way’ among the South-Sŏn School(南宗) branches. But four places which were fabricated and inserted are contrary to that article’s intent.
    In a monumental Bojo-Inscription the ‘Shorter road to attainment way(徑截門)’,namely Ganwha-Sŏn was pointed out specifically as the last and the finest Sŏn-way among the three ways guided by Bojo. This description strongly influenced on Korea Buddhism history to be fallen into the motto of ‘Ganwha-Sŏn First’. But that was also fabricated by Jingak-Hyesim. In order to disguise that forgery as a fact he fabricated that Bojo’s the last realization was accomplished in reading Daehye-Analects(大慧語錄).
    Ganhwa-gyoul-yeu-lon(看話決疑論), discovered by Hyesim as Bojo’s posthumous manuscripts, was newly and by forgery written by Hyesim. He transcribed several passages of the ‘Dongyo(頓敎)’․‘Early Sŏn-School Sŏn-way(初期禪宗禪法)’․‘Hwaeom Wondon Sŏn-way(華嚴圓頓門)’ from Wondon-SeongBullon(圓頓成佛論) that discovered together with Ganhwa-gyoul-yeu-lon, and on the following paragraph described Ganwha-Sŏn(看話禪) as ‘Shorter road to attainment way’, and emphasized that only Ganwha-Sŏn can clear obstacles of awarance-impression(知解) sickness. But in Wondon-SeongBullon Bojo emphasized that such awarance-impression(知解) sickness can be cleared by master’s enlighten such as sweep away-words(灑落言句). Moreover there are no necessity and wants to practice Ganwha-Sŏn in practicing ‘no raise mind Sŏn-practice’(無心禪) that indicated as ultimate Sŏn-way by Bojo. Ganwha-Sŏn is inconsistent with ‘no use mind(不用心)’ and ‘no raise mind practice(無心禪)’ of ‘Early Sŏn-School Sŏn-way’. Nevertheless Hyesim advocated to give up the idea of practicing such ‘Early Sŏn-School Sŏn-way’, and must have doubts about Whadu(話頭) only. Such a measure was the same old trick with Daehye-jonggo(大慧宗杲). As a result of such trick Ganwha-Sŏn could be perceived ultimate Sŏn-way.
    These fabricating cases were acted from old times in China. Specially South-Sŏn School have acted such forgery plentifully. Moreover Ganwha-Sŏn Family was more severe. Such matters mean that Ganwha-Sŏn Family had not legitimacy and what should be.
    Besides it must be considered that the military minister government in Korea dynasty needed to gain supremacy over the Doctrine-School(敎宗). The military minister government supported actively and largely Hyesim, the leader of Suseonsa(修禪社). In short through such measures they could hold Buddhism Society. They attained a looked-for effect, and consequently the motto of ‘Ganwha-Sŏn First’ have been shaped and continued for 8 hundreds years. Finally it is obvious that Korea Buddhism Society have been taken in by that trick up to the present.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진단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