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儀禮』에서 ‘祭’ 儀節에 관한 法象論的 고찰 (An Introductory Study on the Rites of Ji [祭] through the Discourse of an Imitation of Nature [法象論] in the Yílǐ [儀禮])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3.02
27P 미리보기
『儀禮』에서 ‘祭’ 儀節에 관한 法象論的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철학연구 / 165권 / 233 ~ 259페이지
    · 저자명 : 지현주

    초록

    이 글의 목적은 『의례』에서 빈번하게 행해진 祭를 고찰하기 위해 祭 儀節의 구체적인 형상에 주안점을 두고, 제지내는 의절이 제를 의미하는 형상으로 해명하고, 이 과정에서 祭와 祭禮의 차이를 명료하게 드러내는 데 있다. 『의례』 17편 가운데 12편에서 수많은 제가 의절에서 제례와 구별되지 않았던 점에 주목한 것이다. 연구를 위해 『주례』의 九祭를 통해 주소가의 해석을 참고하고, 『역전』에서 본뜸의 형상론과 춘추시대의 子産(정나라 大夫)의 사상에서 드러나는 法象論에 기댄다. 따라서 이 연구는 제 의절을 해명하려는 시론적 고찰이다.
    祭가 祭祀 혹은 祭禮를 포함하는 원형으로 쓰이거나 민속적인 고수레로도 널리 해석되는데 굳이 이들을 구분하지 않았던 까닭은 무엇일까? 제지내는 儀節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振祭·隋祭·擩祭 등의 이름에서 드러나듯 흔드는 형상, 제기 사이에 떨어뜨려 놓는 형상, 소금과 젓갈에 묻히고 적시는 형상이 곧 제지냄이다. 의절의 의미가 그 형상에 부여된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희생을 들어 올린 것이 공경을 의미하고 일상에서 음식을 섭취하는 과정과 음식을 다루는 과정을 제 의절로 삼았는데 注疏家는 이를 음식과 음식을 처음 만든 이에게 보본반시하는 마음으로 말한다. 그런데 제 의절은 제지내는 형상이기에 제의 의미는 형상에서 발견되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제지내는 주체가 몸소 제 의절에 동참해야 비로소 제지냄이 성립되는 것을 보이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focus on the specific form of ceremonies for the rites of ji[祭], and then expla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ji[祭] of rites and the ji[祭] of ancestral rites in each ritual process. Although many of ji[祭]s in the Yílǐ[儀禮] are revealed in 14 of the 17 chapters of the Yílǐ[儀禮], it was noted that their rites and their meaning in relation to each other were not distinguished. I will refer to the annotations among the thirteen classics with the three most representative Li[禮] books for the study. I will go on to explain the rites from the perspective on the discourse of an imitation of nature[法象論] that was revealed in zi chǎn[子産]’s thoughts in the Spring and Autumn periods.
    Why weren’t both of them distinguished even though the ji[祭] was used as a prototype, including a rite or was widely interpreted as a folk rite? This is because the customs of the rites themselves were not taken into consideration. As explained in the ji[祭], the meaning is in the form of the ji[祭] and may be a method for further interpretation. As the names of the ji[祭]s in the Yílǐ[儀禮] which the nuòjì[挼祭], jǔji[擧祭], rŭjì[擩祭] and Jinje[振祭] were all composed of forms imitated after what ancient people do in their daily lives and rituals, the meaning revealed by the form of these rites was usually through gratitude and respectfulness in return for food or to a person who made the food for the first time. Jǔjì[擧祭] is a shape in which the rites are performed, raising his hands with those foods or a sacrificial offering, and what is serving food little by little between dishes, both of them carried the same meaning. The important point is that when the rites are performed through personal particiaption, the ji[祭] is reali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