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 말 幻菴 선사의 『護法論』간행 배포와 그 영향 (The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of Hobeopron (『護法論』) by Zen Master Hwanam(幻菴) at the End of Goryeo andTheir Significance)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1.07
34P 미리보기
고려 말 幻菴 선사의 『護法論』간행 배포와 그 영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문화 / 40호 / 167 ~ 200페이지
    · 저자명 : 곽승훈

    초록

    『護法論』은 고려 말 禑王 5년(1379) 幻庵禪師의 주도로 충주 靑龍寺에서 간행 배포되었다.
    宋의 丞相 장상영이 저술한 『護法論』은 韓愈와 歐陽脩가 제기한 斥佛論에 대해 반박한 글이다. 장상영은 佛事活動의 功德無用論에 대해 유교 경전의 내용과 역사 사례를 들어 논리적으로 반박하였다. 또한 유교와 불교가 학문을 연마하거나 수행한 뒤 얻는 결과로서의 목표가 중생을 교화하여 그 기쁨을 함께 누리는 것처럼 같으므로 儒佛不異를 주장하였다. 즉 그의 의도는 性理學者들에게 斥佛論의 拂拭을 넘어 유불불이의 취지에 공감토록 하는 것이었다.
    恭愍王代 성리학자들은 불교계의 사회경제적 폐단을 비판하였지만, 불교를 부정하는 것은 아니었다. 하지만 그들은 白文寶와 같은 儒佛不同의 입장과 李達衷과 같은 儒佛不異의 입장 둘로 나뉘어져 있었다. 따라서 儒佛不異의 취지가 잘 설명된 『護法論』을 환암이 간행 보급한 목적은 바로 儒佛 간의 調和를 이루고자 한 것으로 이해된다. 이런 때문에 『護法論』은 많이 배포되어 읽혀졌는데, 이는 恭讓王 3년에 올려진 여러 편의 척불상소의 내용에서 확인된다.
    이럼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조선 왕조에서는 성리학을 정치이념으로 삼아 儒佛不同의 입장을 확고히 하였다. 그렇지만 『護法論』은 조선 왕조에서도 계속 인쇄 배포되었으며, 성리학자들이 이를 읽고 공감도 하는 한편 반대도 하였다. 이는 불교를 배척하는 성리학이 있는 곳에 항상 『護法論』이 있었음을 알려 준다. 이런 점에서 보아 고려 말 『護法論』의 간행과 배포는 역사적으로 사상사적으로 그 의의가 작지 않음을 알겠다.

    영어초록

    Hobeopron was published and distributed at Cheongryong Temple(靑龍寺) of Chungju(忠州) under the leadership of Zen Master Hwanam in the fifth year of King Woo's(禑王) reign(1379) at the end of Goryeo.
    Jang Sang-yeong's(張商英) Hobeopron refuted the anti-Buddhist theory(斥佛論) raised by Han Yu(韓愈) and Gu Yang-su(歐陽脩). He logically refuted the Gongdeokmuyong theory(功德無用論) of Buddhist service activities with the Confucian Scripture and historical cases. He also maintained "Confucianism and Buddhism are not different(儒佛不異)", arguing that the goals Confucianism and Buddhism pursued through study or cultivation were the same like enlightening people and sharing its joy. His intention was to inspire Sung Confucianists to agree with the purport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are not different" beyond their anti-Buddhist sentiments.
    During the reign of King Gongmin(恭愍王), Sung Confucianists criticized the evil practices of the Buddhist community in social and economic aspects but did not deny Buddhism itself. However,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of which took the position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are not the same(儒佛不同)" like Baek Mun-bo(白文寶) and the other of which took the position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are not different" like Lee Dal-chung(李達衷). Hwanam published and distributed Hobeopron, which offers good explanations about the purport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are not different," in order to promote harmony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Thus his Hobeopron was distributed and read in large numbers, which is recorded in several anti-Buddhist memorials presented to King Gongyang(恭讓王) in the third year of his reign.
    Despite those efforts, however, the new Joseon Dynasty consolidated the position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are not the same" by taking Sung Confucianism as its political ideology. Hobeopron, however, continued to be printed and distributed throughout Joseon. Some Sung Confucianists agreed with it, while others were against it, which indicates that Hobeopron was always there where Sung Confucianism was which excluded Buddhism. Considering all those, it is apparent that the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of Hobeopron claim huge historical and ideological signific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6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