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星湖學派의 王覇論 — 星湖와 茶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Seongho School’s Wangpae Theory(王覇論) - Focusing on Seongho (星湖) and Dasan(茶山))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1.09
28P 미리보기
星湖學派의 王覇論 — 星湖와 茶山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고전연구 / 44호 / 51 ~ 78페이지
    · 저자명 : 함영대

    초록

    본 논문은 왕도와 패도에 대한 政論으로서 특히 맹자에 의해 부각된 王覇論에 대하여 성호학파의 견해를 비교론적 입장에서 검토한 것이다. 왕패론을 의미있게 거론한 맹자와 송대의 왕패론을 우선 검토하고, 성호학파의 비견될만한 동아시아의 학자인 황종희, 이토 진사이의 왕패론과 비교하여 성호학파의 왕패론이 가지는 의미를 규명해 보았다.
    황종희와 이토 진사이의 왕패론과 비교해보면 성호의 왕패론은 功業과 현실적인 상황을 설정하여 왕패에 대한 진취적인 관점을 유지한 것으로 파악된다. 다산 역시 관중의 처세와 실질적인 업적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평가했는데 이는 事功을 물리치고 心術로 왕패의 구분을 강조한 황종희의 견해보다 현실에 한발 더 다가선 것이다.
    물론 이토 진사이가 보여주는 왕패의 명칭에 대한 견해나 왕패의 혼용에 대한 시각을 뚜렷하게 견지하는 것은 아니지만 대체로 왕도를 온전히 구현할 수 없을 때에 패도를 활용하는 문제에 대해서 매우 개방적이고 유연한 관점을 견지하고 있다는 점은 뚜렷하게 나타난다.
    특히 성호가 진시황과 제환공·진문공의 행사를 비교하며 제시한 논리는 송대 학자 張栻이 보여준 패도가 왕도로 전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둔 것만큼이나 융통성있고 현실주의적인 시야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성찰은 왕패론에 내재하고 있는 완고한 대립적 인식을 극복하여 왕패론 내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긍정적인 요소를 발전적으로 파악하는데 유용하다는 점에서 음미해 볼 만하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Seongho School’s view on Wangpae Theory(王覇論) highlighted especially by Mencius as a political theory on the rule of right and the rule of might from a comparative perspective. This article studies the Wangpae Theory of Mencius who discussed it meaningfully and in Sung Dynasty beforehand and compares the Wangpae Theory of Hwang Jong Hui(黃宗羲) and Ito Jinsai, the scholars of East Asia comparable with Seongho School to examine the meaning of Seongho School’s Wangpae Theory.
    In comparison of the Wangpae Theory of Hwang Jong Hui and Ito Jinsai, it can be seen that Seongho’s Wangpae Theory establishes a great contribution and a realistic situation to maintain a progressive view to Wangpae. Dasan also appreciated Gwanjung’s worldly wisdom and practical achievements positively. This is closer to reality one step further than Hwang Jong Hui’s view which defeats achievements and emphasizes the division of Wangpae with character.
    Of course, it does not distinctively stick to the view on the name of Wangpae which Ito Jinsai exhibits or the sight on the mixed use of Wangpae; however, it is noticeable that it generally holds fast to an open and flexible view on the matter of using the rule of might when the rule of right is not soundly manifested.
    Especially the logic suggested by Seongho as comparing the acts of Qin Shi Huang and Je Hwan Gong(齊桓公)⋅Jin Mun Gong(晉文公) is a view as flexible and realistic as that the rule of might shown by Jang Sik (張栻), a scholar of Sung Dynasty, opens its possibility to convert to the rule of right. This kind of introspection is good enough to be appreciated in that it overcomes the stubborn contrastive consciousness internalized in Wangpae Theory and is useful to figure out positive, feasible elements in Wangpae Theory developmental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