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양사상의 전통 ‘악론樂論’에 관한 연구 - 정약용의 『악서고존樂書孤存』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raditional ‘Ak-ron樂論’ of Oriental Thought - Focused on Jeong Yak-yong's “『Akseo Gojon樂書孤存』” -)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2.11
47P 미리보기
동양사상의 전통 ‘악론樂論’에 관한 연구 - 정약용의 『악서고존樂書孤存』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철학연구 / 164권 / 165 ~ 211페이지
    · 저자명 : 이기호

    초록

    이 연구는 정약용丁若鏞(1762~1836)의 『악서고존樂書孤存』을 통해 중국과 한국을 중심으로 하는 동양의 고대 ‘악론樂論’을 성찰해보려는 시도이다. 고대로부터 한자와 유교를 공유한 문화권에서는 음악을 단순히 유희의 대상으로 삼지 않고 인간의 내면과 관계되는 것으로 인식하였으며, 그것이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공효功效에 주목하였다. 고대인들은 ‘악樂’이 인간의 내면으로부터 나오는 것으로 간주하고 이를 인간의 수양과 교화의 중요한 수단으로 여겼다. 나아가 ‘악’은 선정善政을 이룩하는 치도治道의 핵심으로 자리잡게 되었는데, 이것이 바로 공자孔子(B.C.551~B.C.479)의 ‘예악정치禮樂政治’ 사상이다.
    이러한 음악관이 형성된 것은 그 시기를 특정하기 어려울 정도로 매우 오래된 일이다. 또 그것은 선진先秦시대 이후 진한대秦漢代를 거쳐 매우 오랜 기간 동안 수많은 학자들의 설이 첨삭되면서 현재에 이르고 있다. 후대의 학자들은 기존의 학설에 자신들의 연구와 당대當代의 이론을 합하여 다양한 ‘악 이론’을 제시하였다. 『여씨춘추呂氏春秋』, 『관자管子』, 『사기史記』, 『회남자淮南子』, 『한서漢書』, 『후한서後漢書』, 『악서樂書』와 『율려신서律呂新書』 등은 ‘악’을 당시의 각종 우주론이나 자연론 등과 연관하여 설명하기 시작하면서 더욱 복잡해지는 양상을 띠게 된다. 또 다양한 악률산출 이론이나 율관律管의 제작법을 제시하는데, 그 이론이 서로 합치되지 않아 가닥을 잡기가 어렵다. 더욱이 이러한 이론들은 ‘악’에 대한 관념론적 성향과 이론성이 강하여 실제 악기의 조율이나 연주에 합당하지 못한 경우가 많다.
    이러한 상황에서 조선 후기 정약용의 『악서고존』은 꽤나 눈길을 끈다. 성리학적 풍토가 강한 조선사회에서 정약용의 학문태도는 관념적인 것을 벗어나 실제 삶에서 활용될 수 있는 실용성을 추구하는 성향이 강하다. 『악서고존』도 그러한 맥락에서 저술되었다. 정약용이 『악서고존』을 통해 추구한 것은 옛 ‘악’의 원리를 밝히고 그 제도를 회복한다는 것이다.
    이 논문은 『악서고존』의 안내에 따라 동양 고대의 ‘악 이론’을 들여다보려고 한다. 이를 통하여 원시유가의 학자들이 추구했던 예악사상의 본의를 알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 그리하여 그간의 연구자들이 관념적인 ‘악’에 치우쳐 이론상으로는 예악사상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도 실제상으로는 ‘악’에 대한 언급이나 강론이 어려웠던 상황을 조금이나마 해소되기를 기대해 본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n attempt to reflect on the ancient ‘music theory’ of the East centered on China and Korea through 『Akseo-Gojon樂書孤存』 by Jeong Yak-yong (1762~1836). In a culture that has shared Chinese characters and Confucianism since ancient times, music was not regarded as a simple object of entertainment, but was perceived as being related to the inner human being, and attention was paid to its effect on individuals and society. The ancients considered ‘music’ to come from within the human being and regarded it as an important means of human cultivation and edification. Furthermore, “music” has become the core of the political principle of achieving the best politics, which is the idea of “Ye-ak Politics禮樂政治思想” by Confucius (B.C.551~B.C.479).
    This music theory was formed such a long time ago that it is difficult to specify the period. In addition, after the Zhou (周) Dynasty, it went through the Qin (秦) Dynasty and the Han (漢) Dynasty, and for a very long time, the theories of numerous scholars were added and deleted until the present day. Later scholars presented various ‘music theories’ by combining their studies with other scholars' theories with existing theories. Since they began to explain ‘music’ in relation to various cosmologies and natural theories of that time, the theory became more complicated.
    With this in mind, Jeong Yak-yong's 『Akseo Gojon』 of the late Joseon Dynasty is quite eye-catching. In Joseon society, where Neo-Confucianism climate was strong, Jeong Yak-yong's academic attitude tends to seek practicality that can be used in real life beyond the ideological one. 『Akseo Gojon』 was also written in that context. What Jeong Yak-yong pursued through 『Akseo Gojon』 is to reveal the principle of old “music” and restore the system.
    This paper strives to explore the ‘music theory’ of Eastern antiquity according to the guide of 『Akseo Gojon』. Through this, I hope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know the true intentions of Ye-ak ideology pursued by scholars of primitive Confucianism, and to resolve the situation in which it has been difficult to mention or lecture on “music” while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Ye-ak thought in theory, leaning toward the ideological “music the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