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홍석주의 고문론과 『계원필경집』 중간의 의미 (Hong, Seok-Ju’s Theory on Classical Prose(古文論) and the meaning of Publication of Gyewonpilgyeongjjp(『桂苑筆耕集』))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5.06
26P 미리보기
홍석주의 고문론과 『계원필경집』 중간의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과 문화 / 78호 / 157 ~ 182페이지
    · 저자명 : 이성호

    초록

    『계원필경집』의 중간을 주도하는 홍석주와 서유구는 모두 宣祖의 부마 집안이란 공통점을 지닌 동시에 외가로 연결되고 있다. 홍석주의 가문은 노론 중에서 낙론이었으며, 가학으로 고문을 전숭하고 있었다. 또 그의 집안은 혜경궁 홍씨와 연계되어 있었기 때문에 그 자신이 正祖의 특별한 지우를 받고 문체반정과 고문론을 계승하게 된다.
    한편 북학파인 박지원은 최치원의 문집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를 통해 그의 제자인 박제가는 최치원을 ‘북학 사상의 선구’로 이해하게 되고, 그의 학맥을 계승한 서유구는 홍석주와 함께 『계원필경집』을 중간하게 된다.
    홍석주는 문집 중간의 당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최치원에게 사상성을 부여하고, 그의 문체를 새롭게 해석한다. 그는 정조의 유지인 古文論을 최치원의 문체에 적용하고, 북학 사상적 인물관을 최치원에게 투영한다. 그가 최치원과 비유한 인물을 확인하면 한나라의 양웅, 당나라의 한유, 송나라의 구양수⋅증공, 명나라의 귀유광, 청나라의 고염무이다. 성리학 단계를 탈피하고 북학을 수용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漢宋不分論이라고 할 수 있다. 홍석주 자신이 『발해세가』와 「실사구시설」을 저술한 북학파였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 그의 「실사구시설」은 추사 김정희에게 이어진다.
    결론적으로 북학 시대에 최치원과 그의 책인 『계원필경집』을 통해 민족의 주체의식과 자부심을 표현하고자 한 것이다.

    영어초록

    Both Hong, Seok-ju and Seo, Yu-gu, who published Gyewonpolgyeongjip(『桂苑筆耕集』), were of the families that had the sons-in-law of the King Seonjo(宣祖). Hong, Seok-ju’s family belonged to the Noron(老論)–Nakron(洛論) families and its academic traditional was Classical Prose(古文). He took charge of the Restoration of Literary Style(文體反正) and the theory on Classical Prose(古文論) at the behest of King Jeongjo(正祖) due to Lady Hyegyeong.
    Park Je-ga considered Choi, Chi-Won as ‘the pioneer of Northern Learning thought’ under the influence of Park, Ji-won, as one of his disciples. Being in succession to the academic line of Park, Ji-won, Seo, Yu-gu led the publication of Gyewonpolgyeongjip.
    In order to justify the publication, Hong, Seok-ju not only applied the theory on Classical Prose to the literary style of Choi, Chi-won, but also presented him as who was imbued with Northern Learning thought. He compared Choi, Chi-won to the following scholars: Yang Xiong of the Han Dynasty, Yang Xiong of the Tang Dynasty, Ouyang Xiu and Zeng Gong of the Song Dynasty, Gui Youguang of the Ming Dynasty, and Gu Yanwu of the Qing Dynasty. These descriptions show that he breaks away from Neo-Confucianism and accepts Northern Learning, which can be seen as the idea that Evidential Scholarship and Neo-Confuscianism should be complementary(漢宋不分論). This may come from the fact that Hong, Seok-ju himself wrote Balhaesega(『渤海世家』) and a treatise, “On Seeking Truth from Facts”(「實事求是說」) as a member of the Northern Learning School. His treatise was succeeded by Chusa Kim, Jeong-hee.
    In conclusion, Hong, Seok-ju attempted to present a sense of national identity and pride by means of Choi, Chi-won and his Gyewonpolgyeongjip in the period of Northern Learn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1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