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철학상담치료에서 보는 신독론 - 주희의 주해를 중심으로 - (The Philosophical Counseling therapy And Shindok Theory(愼獨論) - the interpretation of Zhu Xi -)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6.08
30P 미리보기
철학상담치료에서 보는 신독론 - 주희의 주해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방학 / 35호 / 75 ~ 104페이지
    · 저자명 : 이기원

    초록

    본고는 철학상담치료의 측면에서 치심의 한 방법으로 주희(朱熹, 1130-1200)의 신독론(愼獨論)을 고찰했다. 마음의 불안을 해소하고 안심(安心)을 위한 방법으로 신독의 가능성을 전망한다. 마음의 불안 해소와 마음의 안정을 얻기 위해서는 자기 마음에 대한 세밀한 부분까지 알아야 한다. 또한 외부의 충격을 감당하거나 충격에서 회복할 수 있는 힘이 필요하다. 이러한 회복하는 힘과 충격을 견디는 힘은 자기반성, 자기이해와 함께 지속성이 동반되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가변적인 감정의 흔들림이나 동요를 견고하게 붙잡아 주는 것이 절실하다. 주희의 신독론에는 이러한 점이 충실하게 반영되어 있다.
    신독은 마음의 도덕성을 확장하기 위한 방법으로 마음의 ‘성실함’을 극대화시킨다. 뿐만 아니라 마음의 세밀한 움직임까지 살피는 보다 근원적인 측면까지 밀고 들어가고 있다. 여기에서 마음의 독자성, 자발성, 주재성이 드러난다. 신독이 의미하는 것은 인간의 실존적 상황으로서의 현재와 이발과 미발의 미분리적 상황에서 생겨나는 의념과 기미(幾微)까지 단속하고자 하는 실천력을 보여준다. 이러한 점에서 본다면 신독은 한국 사회에 많이 나타나는 분노 조절이 필요한 사람이나 마음의 불안증, 감정의 중절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많은 병리적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방법으로 기능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thesis intended to consider the mind attitude to keep mind's cut state while to the anxiety in mind and revealing the person's feeling appropriately depending on situations and objects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Chu Xi(朱熹)'s book, 'Shindok Joohae(Annotation on Right, Restrained Attitude At Being Alone)'. For this purpose, this thesis reviewed the concept of' Learning by Looking at Things(格物致知)' as the premise for the right mind(正心) and considered the contents of 'Shindok Theory' for realizing the Sincerity and Right Mind. For this review and consideration, this thesis intended to prospect the possibility of ‘Shindok’ as a method to remove the anxiety in mind and to get the calm, comfortable mind(安心). In order to remove the anxiety in mind and to get the calmness & comfort in mind, one has to know even details in his/her own mind. Besides, he/she needs the power to endure external shock or recover from it. The power to recover and endure such external shock should accompany the continuity with self-reflection and self-understanding. So it is earnestly needed to firmly grasp the changeable feeling's sway or agitation. This is faithfully reflected in Chu Hsi's 'Shindok Theory'.
    ‘Shindok’ is a method for expanding the mind's morality and maximizes the mind's 'faithfulness'. Additionally, it penetrates even to more fundamental aspect looking into the mind's detail movements. Here, the mind's identity, spontaneity and presiding ability. What the concept of ‘Shindok’ means shows the practice trying to control even the apprehensions and obscurely anxious feeling(幾微) in the situation which the present as the human's existential situation and the non-separation situation between give rise to(已發) and the not-yet give rise to(未發).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