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중기 心畫論의 擡頭와 그 영향 (The Proposion of Simhoik-theory(心劃論) in the Middle Joseon Dynasty and Its Influence)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1.12
30P 미리보기
조선중기 心畫論의 擡頭와 그 영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시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선시대사학보 / 99호 / 143 ~ 172페이지
    · 저자명 : 정해득

    초록

    조선은 중국으로부터 法帖을 수입하여 善書者들에게 나누어주고 글씨를 연구하게 하였고, 안평대군과 같은 송설체의 대가가 출현하여 國書體로 사용되었다. 그런데 조맹부는 宋 宗室 출신으로서 元에 출사하였기 때문에 失節하였다는 문제가 있었다.
    李滉은 도학을 추구하는 사대부로서 심성론적 修身의 관점에서 조맹부의 처신을 비판하였다. 그는 心畫論을 제기하며 송설체 대신 왕희지체를 새로운 모범으로 제시하였다. ‘마음속으로 생각한 필획이 글씨에 드러난다.’라는 심획론은 글씨가 심성 수련의 결과물이라는 유교 사회의 서예관으로 자리를 잡게 되었다.
    韓濩는 왕희지체를 연구하여 석봉체를 완성하였고, 선조대에 국서체로 사용되기에 이르렀으나 寫字官으로서 글씨만 잘 쓸 뿐 도학자의 심획이 아니라는 비판을 받았다. 그래서 사대부들은 이황의 지도를 받아 永和體라 일컬어진 서체를 구사하였던 尹根壽를 모범으로 삼기에 이른다. 또 윤근수의 지도를 받은 金尙容, 金集, 宋浚吉 등으로 계승되며, 심획론이 강화되어 갔다.
    한편, 병자호란 이후 문화적 자존의식과 忠節의식이 더욱 강조되면서 당의 충신 顏眞卿의 서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경향도 나타났다. 이는 곧 왕희지체와 안진경체에 대한 연구를 발판으로 18세기에 조선적인 서체가 발전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영어초록

    Joseon imported the calligraphy textbook(法帖) from China and distributed them to those who wrote well to practice writing. The master of the Songseol-cheo(松雪體), such as the Anpyeong Daegun(安平大君), appeared and was used as a national style. Jo-mangbu(趙孟頫) lost allegiance because he was a member of the Song(宋) imperial family. However, there was a problem that he lost loyalty because he became a civil servant of the Mongol Empire(元).
    Toegye(退溪) Yi Hwang(李滉) criticized Song Seol-che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ind-spiritual reception(修身) as a mental-ronality theory. He proposed the theory of mind painting and presented Wang Heeji-chee(王羲之體), as a new example instead of Song Seol-chee. The Simhoik-theory(心劃論) of ‘the shape that I thought is expressed in writing’ was accepted as the result of the mental training. It has become a recognition of calligraphy of Confucian Society.
    Seokbong(石峯) Han Ho(韓濩) studied Wang Heeji-che and completed Seokbong-che. It was used as a national style in the Senjo(宣祖) Periods, but it was criticized as write well and not a scholar's Simhoik(心劃). So the slaves took the example of Yoon Geunsoo(尹根壽), who was taught by Yi Hwang and used a typeface called a Younghwa-che(永和體). In addition, Kim Sangyong(金尙容), Kim Jip(金集), and Song Jungil(宋浚吉), who were led by Yoon Geun-soo, were strengthened.
    On the other hand, as the cultural self-esteem and loyalty(忠節) consciousness were emphasized more after the Byeongja-Horan(丙子胡亂), the interest in the typeface of Ahn Jinkyung(顏眞卿), a loyalist of Tang(唐) Dynasty, also increased. This was the opportunity for the development of the Joseon style in the 18th century, based on the study of Wang Heeji-che and An Jingyeong-ch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선시대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8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