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득통의 마음사회학적 이해- 『현정론』을 중심으로 - (Hamheo Deuktong in view of sociology of heart - focused on “Hyeonjeongron(顯正論)” -)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8.12
27P 미리보기
득통의 마음사회학적 이해- 『현정론』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논집 / 73호 / 43 ~ 69페이지
    · 저자명 : 유승무

    초록

    이 연구에서는 고려에서 조선으로의 레짐체인지를 역류한 불교사상가 함허 득통 선사의 마음사상과 그의 정치사회적 실천 사이의 관계를 탐구하였다. 한마디로 함허 득통을 마음사회학적으로 연구한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하여, 우리는 득통의 선불교적 마음 개념(그 어떤 외부적 유혹에도 흔들림 없는 견실심)과 그 정치사회적 효과(마음의 사회적 침투 가능성) 사이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나아가 우리는 조선조 호불론의 효시로서 득통과 그의 『현정론』이 그 이후의 호불론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쳤고 그것이 또한 지속되는 숭유억불과 유교의 지배이데올로기화 과정 속에서도 불교의 명맥을 이어가는데 큰 기여를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마음사회학적 시각에서 볼 때 득통의 대응 즉 유교등가적 불교해석에 기반한 삼교회통적 대응과 같은 수세적 호불론은 약간의 아쉬움을 남기는 것도 사실이다. 필자가 보기에는 불교의 유교등가적 해석 보다는 오히려 불교의 사상적 수월성을 보다 분명하게 드러냄으로써 사상적으로 성리학과 그에 기초한 불교 교리 비판을 사상적으로 제압하는 것이 바람직했을 것처럼 생각되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현정’의 전술보다는 ‘파사현정’의 전략과 전술을 모두 동원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truct Hamheo Deuktong in view of sociology of heart. To put it concretely, this study will try to reveal the relation of inter-penetration between Hamheo's idea(or concept) of Heart and his social engagement(or political practice) in the background of anti-Buddhism of new Confucian bureaucrats in the early Choseon period.
    By this study, we find the fact that Hamheo's idea of Heart which is not waver by any temptation and stimulus, namely Gyunsilshim(堅實心) affected his social engagement(or political practice) and his counter- current life. Also, we find that Hamhur Deuktong and his work, “Hyeojeongron(顯正論)” effected to thereafter Hobullon(護佛論) which means the protection of Buddhism from Confucian bureaucrats's anti-Buddhism-offences during the Choseon Period, namely Sungyueukbul (崇儒抑佛) and made the duration of Buddhism till now.
    But I think that Hamheo's tactic to copy with the political situation, namely ‘Hyeojeong(顯正) tactic without Pasa(破邪) tactic’ contains definite limit. Because Hamheo's interpretation of Buddism by which he argument the similarity of Buddhism and Confucianism is not only passive attitude but also can make a negative effe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