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1세기 일본인론의 패러다임 시프트 :전망과 과제 (The paradigm shift of Nihonzinron in 21century : perspective and mission)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6.02
21P 미리보기
21세기 일본인론의 패러다임 시프트 :전망과 과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어일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일어일문학연구 / 96권 / 2호 / 437 ~ 457페이지
    · 저자명 : 박용구

    초록

    「果たして日本人の集団主議者論は間違いなのか。日本人論は終末を告げるか。新地平を開いていけるか。」という問いに関して考察した。 本論の考察から見ると‘元々日本人の集団主義者論は間違ったものである。従って日本人論ではなく日本人の集団主義者論が終末を告げるだろう。日本人論のパラダイムシフトを通じ新地平を開くことができるだろう’と答えられる。 日本人の集団主義者論が間違っている理由は、まず、「個人主義:集団主義」という欧米文化拘束的な枠組みを前提にしており、このような構図下では「個人主義者の欧米人:集団主義者の日本人」という単線的な日本人論しかいえないからである。 しかも、歴史的産物としての文化論はの立場で外来原理(etics)ではなく内在原理(emics)に基づくべきであるが、集団主議論は外来原理によるものだからである。この面で集団主議論より間人主義論が有用だろう。しかしながら、間人主議論も「個人主義者の欧米人:間人主義者の日本人」という単線的構図を免れない。 間人主義論の単線的な面を脱皮する代案として日本人の個別化の現象に注目したいが、残念ながら個別化に関する言説を総合してもその実体が捕まらない。個別化の現象を個別主義といいえるまでの理論的整備が要される。すなわち、新しい日本人論を構築するためには「個人主義:集団主義」から「間人主義:個別主義」へのパラダイムシフトが必要ということである。

    영어초록

    So far, I searched that "Is the theory of Japanese collectivist wrong? Does Nihonzinron come to an end? or Can it open a new prospect?" Through the article I can conclude that the theory of Japanese collectivist is wrong from the start. Therefore, the theory of Japanese collectivist not Nihonzinron should come to an end. Nihonzinron can open a new prospect with paradigm shift.
    The first thing that the theory of Japanese collectivist is wrong presupposes the frame of western culture-bounded, and it can't get over an unilateral Japanese theory of "Individualist Westerners : Collectivist Japanese under this structure.
    Also, the culturism as a historical fruit needs emic concepts but the collectivism has come from the western. At this point, contextualism works usefully. But contextualism also has the unilateral composition 'Individualist Westerners : Contextualist Japanese'.
    I would like to pay attention to a phenomenon of Japanese individuation to get out of the unilateral aspect. But it is difficult to definitize the individuation in spite of integrating the discourse about it. We need systematic and theoretical reorganization of individuation in oder to mention 'individuationism'. Eventually, a paradigm shift from'individualism : collectivism'to'contextualism : individuationism' is necessary to build a new Nihonzinr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어일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