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라이(徂徠) 학파의 훈독론과 한문 번역 (The Theory of Kundoku of the Sorai School and Kanbun Translation)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2.06
26P 미리보기
소라이(徂徠) 학파의 훈독론과 한문 번역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본사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日本思想 / 42호 / 163 ~ 188페이지
    · 저자명 : 엄석인

    초록

    본고는 일본의 한문 번역에서 오늘날까지도 주인공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훈독문의 역사적 사상적 맥락을 짚어보기 위하여 에도 시대의 오규 소라이(荻生徂徠)와 다자이 슌다이(太宰春台)의 훈독론을 대상으로 그들의 주장이 갖는 의미와 그와 관련한 번역의 문제를 고찰한 것이다.
    먼저, 소라이와 슌다이는 그들의 고문사학(古文辭學)의 방법론에 기초하여 전통적인 일본의 훈독을 부정하였지만, 그들의 훈독 부정은 자신들의 의도와는 달리 오히려 일본 훈독의 질을 높이고, 한문 해석에서 훈독의 필수 불가결한 중요성을 부각하는 역할을 하였음을 논하였다. 이어서 훈독과 번역의 관계에 대하여 소라이는 훈독이 곧 번역이라는 인식을 나타냈지만, 그러나 그 번역은 한문의 원문 존중, 결국 일종의 훈독 형태와 다름없는 것이었음을 밝혔다. 이러한 원문 존중의 한문 훈독의 방식은 에도 시대의 다른 많은 학자의 훈독을 응용한 ‘한자가나혼용문(漢字假名混用文)’에 의한 저술 활동에 힘입어 일본의 ‘번역용 문장어’의 기초를 이루게 되지만, 한편에서 소라이와 슌다이가 제기한 한문 훈독의 문제는 근대에 이르러 일본어의 정체성과 훈독 효용론 등의 논의를 불러일으켰음을 지적하였다.

    영어초록

    To reflect on the historical and ideological context of kundok(訓読), which to this day occupies a leading position in Japanese kanbun translation, this report focuses on the kundok theories of Ogyu Sorai(荻生徂徠) and Dazai Shundai(太宰春台) during the Edo period, examining the meaning of their arguments and the translation issues.
    First, we discussed how, unlike their original intention, the rejection of traditional Japanese kundoku based on their methodology, which was based on Kobunjigaku (古文辞学), served to enhance the quality of Japanese kundok and further highlight its importance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Chinese text. Next,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kundoku and translation, it was made clear that although the concept of kundoku is translation, the translation is merely a form of respecting the original Chinese text, or in other words, a form of kundoku. This method of reading Chinese texts with respect for the original text became the basis of Japan’s “written language for translation” through the active writing of “mixed kanji-kana texts” that applied the reading of Chinese texts by many other scholars in the Edo period, while pointing out that the issue of reading Chinese texts as raised by Sorai and Shundai sparked discussions about Japanese identity and the utility of reading Chinese texts in the modern er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日本思想”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