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起信論疏筆削記』의 전승과 전래 (『Qixinlun-shu-bixueji(起信論疏筆削記)』's transmission and introduction)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8.02
33P 미리보기
『起信論疏筆削記』의 전승과 전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연구 / 48호 / 169 ~ 201페이지
    · 저자명 : 김혜원

    초록

    본 논문에서는 동아시아에서 유통되었던 장수자선(長水子璿, 965-1038)의 『기신론소필삭기(起信論疏筆削記)』(이하 『필삭기』)의 서지학적 연구를 통해서 『필삭기』가 불교사에서 갖는 의미와 특성을 찾아보았다. 처음에는 중국에서 간행된 『필삭기』를 살펴보고, 다음에 『필삭기』가 우리나라에 유입된 과정과 간행 현황을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일본에서 유통된 『필삭기』 판본과 주석서들을 정리하였다.
    중국에서 『필삭기』는 한편으로는 대장경들에 수록되어 전승되었고, 다른 한편으로는 속법(續法)이 『필삭기』를 회본(會本)형식으로 편집한 『기신론소기회열(起信論疏記會閱)』(이하 『회열』)을 통해서 유통되었다. 『회열』에서는 『필삭기』 이외에도 저자 소개와 저술 동기 및 그의 사상사적 위치를 가늠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였다.
    조선에서는 중국의 가흥장본(嘉興藏本)이 유입되어 성총(性聰)이 『대승기신론소필삭기회편(大乘起信論疏筆削記會編)』을 제작하고, 해원(海源)이 『필삭기』를 복각(復刻)하였다. 이는 이후 강원(講院)의 사교과(四敎科)의 편성에 영향을 끼쳤다. 그리고 『필삭기』의 사기(私記)가 일부 남아있다.
    일본에서는 중국이나 한국과는 달리 회본(會本) 형식의 판본이 없다고 추정한다. 일본의 『필삭기』연구의 특징은 무엇보다도 주석서 찬술에 있다. 예컨대 즉중(卽中)은 『대승기신론소기이변초(大乘起信論疏記易辨抄)』와 『기신의(起信義)』 등을 찬술하여 『필삭기』를 주석하거나 각 장의 요지를 정리해 보여주었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Qixinlun-shu-bixueji(起信論疏筆削記)』(『筆削記』 for the rest) of Zhangshui-Zixuan(長水子璿, 965-1038) that was distributed in East Asia will be medium to find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筆削記』 in terms of Buddhism through bibliographical study. In the beginning, 『筆削記』 will be reviewed when it was published in China. Then research on the introduction of 『筆削記』 into Korea will be covered. Finally, printed 『筆削記』 and annotation books that were distributed in Japan will be listed.
    In China, 『筆削記』 has been handed down by recorded from Dacangjing(大藏經) and, on the other hand, it was distributed through 『Qixinlun-shu-ji-huiyue(起信論疏記會閱)』(『會閱』 for the rest) which was edited as Huiben(會本) version of 『筆削記』 that was worked by Xufa(續法). In 『會閱』, the information of author introduction, motivation of writing as well as the one that lead to judge his visionary thoughts was mentioned beside of 『筆削記』.
    In Joseon, Xingcong(性聰) published 『Dacheng-qixinlun- shu-bixueji-huibian(大乘起信論疏筆削記會編)』 when Jiaxingcangben(嘉興藏本) from China was brought into. Haiyuan(海源) reprinted 『筆削記』. This was effect on consisting Jiangyuan(講院)'s Sijiaoke(四敎科). Also, some part of 『筆削記』's Siji(私記) is still remained.
    In Japan, it is believed that Huiben(會本) version of printed book doesn't exist differ from China and Korea. Above all the difference from two countries to Japan, in terms of studying 『筆削記』, is coming from editing commentary. For example, Jizhong(卽中) composed 『Dacheng-qixinlun-shu-ji-yi-bian-chao(大乘起信論疏記易辨抄)』 and 『Qixinyi(起信義)』. After that he arranged substances of each chapters or annotated 『筆削記』.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