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석마하연론(釋摩訶衍論)』의 주요 내용과 특징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Shi moheyanlun 釋摩訶衍論)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0.04
24P 미리보기
『석마하연론(釋摩訶衍論)』의 주요 내용과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불교철학 / 6권 / 167 ~ 190페이지
    · 저자명 : 김지연

    초록

    『석마하연론(釋摩訶衍論)』은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의 주석서로, 저자를 용수(龍樹)로 번역자를 벌리마다(筏提摩多)로 지목한다. 하지만 저자 용수에 대한 진위논쟁이 지속되면서, 일본에서는 신라 승려 월충의『석마하연론』 저술설이 제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 『석마하연론』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석마하연론』과 신라의 불교사상의 연관성을 밝히기 위해, 우선적으로 『석마하연론』의 저자에 대한 논쟁과 저술시기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현존하는 『석마하연론』 의 사본과 판본 및 『석마하연론』을 인용한 문헌과 이 논의 주석서를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석마하연론』의 구성과 내용을 정리하고, 말나식에 열 한가지 명칭을 부여하는 등의 독창적인 해석을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석마하연론』과 원효의 『기신론소』를 포함한 신라 문헌의 사상적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석마하연론』에 나타나는 원효의 영향은 ‘熟’ 과 ‘就’로 확인되는 용어적인 측면과 제7 말나식을 독립된 식으로 인정하는 등의 내용적인 측면에서 찾아 볼 수 있었다. 본고의 연구만으로는오래전부터 제기되었던 신라 승려 월충의 『석마하연론』 저술설을 확정짓기 어렵지만, 『석마하연론』과 신라의 불교사상의 상관성을 발견하고그 가능성을 높이는 기회가 되었다.

    영어초록

    The Shi moheyanlun (釋摩訶衍論) is an annotated book of the Awakening of Mahāyāna Faith (大乘起信論). This book has been thought to be written by Nāarjuna (龍樹) and translated by Vṛdhimata (筏提摩多).
    However, many controversies about the writer continued, and there is the hypothesis in Japan that the Silla monk Woulchung wrote the Shi moheyanlun. Although some japanese monk mentioned the writer as Sillan, the study on the Shi moheyanlun is insufficient in Korea. Therefore, firstly, I examined the arguments about an author and the period of creation of the Shi moheyanlun. Secondly, I looked into the manuscripts and wood-block printed books, and the commentaries on the Shi moheyanlun.
    Thirdly, I organized the composition and contents, and reveal the identity of Shi moheyanlun.
    Lastly I fou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Shi moheyanlun and the Gisillon so of Wonhyo. From the ideological relation between them, I could develop the possibility that the Silla monk Wolchung is the author of Shi moheyanlun. There are two aspects to show the Wonhyo’s influence over the Shi moheyanlun. The one is the aspect of words as ‘熟 shu’ and ‘就 jiu’. The other is the aspect of contents that they recognize the 7th manas as the separate consciousness. Moreover, the of Shi moheyanlun claims the unique eleven names of manas. Even though it is hard to determine the hypothesis that the Sillan Woulchung is the writer as the fact, the ideological effect of Wonhyo on the Shi moheyanlun reveals the deep relation between the Silla Buddhist thought and the Shi moheyanlu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