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고악보에 나타난 『만보전서(萬寶全書)』의 금도론(琴道論) (Manbojeonseo(萬寶全書) Geumdoron(琴道論) in the old scores of Joseon(朝鮮))

8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0.02
88P 미리보기
조선시대 고악보에 나타난 『만보전서(萬寶全書)』의 금도론(琴道論)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연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공연문화연구 / 1권 / 20호 / 251 ~ 338페이지
    · 저자명 : 최선아

    초록

    『만보전서(萬寶全書)』는 명·청 시대에 걸쳐 여러 차례 간행된 일종의 백과사전으로 사서민(士庶民)의 일상생활에 유용한 정보를 담고 있다. 1720년 청나라를 방문한 조선의 사신단을 통해 조선으로 유입된 『만보전서』는 당시 사회에 유포되어 일상의 유용한 정보지로 혹은 개인문집의 참고서적으로 유행하고 있었다. 여기에는 금도론(琴道論)의 내용도 일목요연하게 정리되어 있어, 고악보에 금도론을 수록할 때 유용한 참고서로 이용될 수 있었다. 실제로 『한금신보』(1724)에 소개된 금도론 중 오불탄, 탄금수지, 태음기법은 그 출처에 대해 『만보전서』라는 점을 분명히 밝히고 있어 주목된다.
    본고에서는 4종의 『만보전서』에 수록된 금도론의 순서와 내용을 비교해 보았다. 우선 다량의 금도론을 수록하고 있는 서기룡이 편집한 『만보전서(1610)』의 금학문(琴學門)과 유자명이 편집한 『만보전서(1612)』의 금학문의 항목을 비교·대조해 보았다. 『만보전서(1610)』와 『만보전서(1612)』는 모든 면(page)마다 上층·下층으로 영역이 나뉘어 기록되었다. 금학문의 상층과 하층은 각각 4개의 상위 분류 항목을 가지고 있다. 상층이 하층에 비해 비교적 오래된 내용을 담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상층이 이론적인 덕목 중심이라면 하층은 금(琴)을 실제로 연주할 때의 손의 사용법 및 노랫말과 감자보(減字譜)로 구성된 악보류가 중심이 된다. 즉 상층은 형이상학적인 내용이라면, 하층은 형이하학적인 내용으로 구성되었다고 하겠다. 『만보전서(1610)』와 대조해서 『만보전서(1612)』의 금도론의 분류는 상위 항목을 지칭하는 명칭과 순서에서 일부 차이점이 발견된다. 이러한 차이는 금도론의 분류 체계에 보다 합리성을 갖추고자 하였기 때문에 나타난다. 『만보전서(1614)』의 경우는 금도론의 내용이 동일한 편자가 편집한 『만보전서(1610)』에 비해 매우 소략해 졌으며, 『만보전서(1739)』의 경우는 오음정조보(五音正操譜)가 새롭게 첨가되었으나 역시 간략해 졌다.
    다음으로 『만보전서』의 금도론과 우리나라 몇몇 고악보의 금도론을 비교해 보았다. 우리나라에서 상당량의 금도론이 체계적으로 필사되기 시작하는 국악원 소장 『금보』와, 『한금신보』는 비교적 오래된 금도론을 수용한 것으로 보인다. 반면 『유예지』와 『방산한씨금보』는 비교적 최근의 실용적인 내용의 금도론을 수용하였는데, 금도론의 기록 순서와 내용이 『만보전서(1739)』의 것과 유사하다. 『금헌악보』 역시 우리나라의 다른 고악보에 없는 금도론을 상당량 보유하고 있으며, 『만보전서(1612)』의 상층뿐 아니라 하층 항목의 금도론까지 구체적이고 분명하게 기록한 점으로 보아, 옛 금도론부터 비교적 최근의 것까지 적극적으로 수용한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Manbojeonseo, a kind of an encyclopedia published several times in Ming·Ch’ing dynasty, includes useful information for scholars and common people on daily lives. In 1720, Manbojeonseo was first introduced to Joseon(朝鮮) dynasty by the diplomatic corps visiting Ch’ing dynasty, and widely circulated in the society as an useful information magazine or an individual collection of reference book. Since Manbojeonseo includes the systematically-organized contents of Geumdoron(琴道論, a theory of a heptachord), it could provide a useful reference when the Geumdoron was inserted as the contents of old scores. For an instance, Obultan(五不彈), Tangeumsuji(彈琴須知), and Taeeumgibeop(太音紀法) recorded in Hangeumsinbo(韓琴新譜, 1724) clearly acknowledge Manbojeonseo as their common source.
    In this paper, the order and the contents of Geumdorons from four different Manbojeonseo are compared. At first, the comparative analysis of Manbojeonseo (1610) edited by Seo Giryong(徐企龍) and Manbojeonseo(1612) edited by Yu Jamyeong(刘子明) are carried out focusing on the contents of the Geumdoron, where both Manbojeonseos contain considerable amount of Geumdoron sections. The tables of the contents in both Manbojeonseos are composed of upper and lower levels classified into 4 large divisions for each. While the contents of the upper level is presumably older and focused more on the theory of the cardinal virtues, the contents of the lower one is relatively new and centered more on the skills for the real play of a heptachord(琴), the lyrics and the musical scores composed of Gamjabo(減字譜). Therefore, it could be said that the upper level is metaphysical while the lower level is physical. One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ose two Manbojeonseos lies in the order and the terminology found in the large divisions. In the case of Manbojeonseo(1612), some terms in the large division represent and theoretically group the detailed descriptions in the small divisions such as 5 demands or 7 taboos in the play of the heptachord. In addition, a few lower divisions were newly added or revised in order to enhance the completeness of Geumhangmun(琴學門, study of a heptachord), and the detailed classification was revised and polished to improve the reasonableness.
    In Manbojeonseo(1614) composed by the same editor as Manbojeonseo(1610), the contents of the Geumdoron become much briefer than those of Manbojeonseo(1610) and Manbojeonseo(1612). In the case of Manbojeonseo(1739), a new type of the Geumdoron is included called Oeumjeongjobo(五音正操譜) while carrying a similarly brief section of the Geumdoron.
    Finally, the Geumdorons in Manbojeonseo and several old scores are comparatively analyzed. While the Geumbo(琴譜) owned by Gugagwon(國樂院) and Hangeumsinbo contains relatively old Geumdoron, Yuyeji(遊藝志) and Bangsanhanssigeumbo(芳山韓氏琴譜) adopt practical and relatively new Geumdorons different from the former old scores and similar to Manbojeonseo(1739) considering the order and the contents. In particular, the contents of the Geumdoron in Geumheonakbo(琴軒樂譜) is notably unique containing much of the upper and the lower levels of Manbojeonseo(1612), therefore thought to have actively adopted the contents of new Geumdor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연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