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D. H. 로렌스, 질 들뢰즈, 캐서린 켈러의 요한계시록 해석 비교 연구 ― 존재론적 이해와 해석적 차이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Book of Revelation by D. H. Lawrence, Gilles Deleuze, and Catherine Keller — Focusing on Ontological Understanding and Interpretive Difference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4.06
28P 미리보기
D. H. 로렌스, 질 들뢰즈, 캐서린 켈러의 요한계시록 해석 비교 연구 ― 존재론적 이해와 해석적 차이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사상 / 205호 / 61 ~ 88페이지
    · 저자명 : 김봉근

    초록

    D. H. 로렌스는 『안티크리스트』에서 니체가 제시한 그리스도와 바울의 대립 구도를 활용하여 그의 요한계시록 해설서인 『아포칼립스』를 썼다. 이 책에서 로렌스는 개인의 고귀한 사랑의 종교를 꿈꾸었던 그리스도와 집단의 분노와 복수의 종교를 꿈꾸었던 밧모스의 요한을 대립시키며, 요한계시록의 저자가 고대 이교도들의 죽음과 재생의 신화적 서사를 차용하여 풍성한 종교적 상징은 제거하고, 유대-기독교의 도덕적 알레고리의 옷을 입힌 후 종말론적 복수의 이야기로 재서술한 것이라 말한다. 들뢰즈 역시 로렌스의 이러한 해석적 관점을 그의 책 『비평과 진단』 에서 지지하며, 요한계시록은 초기 기독교인들의 복수심과 오만함을 보여주는 ‘좀비들의 책’이라고 말한다.
    캐서린 켈러는 니체-로렌스-들뢰즈로 이어지는 영원 회귀의 내재적 존재론적 관점이 오늘날 기독교 문제와 기후 위기를 극복해 나가는 데 상당히 유효하다고 보는데, 그러한 관점에서 요한계시록을 ‘묵시 종말적 마음 집중하기’(apocalyptic mindfulness) 방식으로 새롭게 읽을 필요가 있다고 본다. 『묵시적 종말에 맞서서』(Facing Apocalypse)에서 그녀는 요한계시록의 환상들을 부동(不動)의 하나님이 계시한 미래 사실에 대한 결정론적 ‘예고’(prediction)로서가 아닌 인간과 하나님의 관계가 파괴되었을 때 세계가 당면하게 될 어려움에 대한 ‘예언’(prophecy)으로서 읽어야 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요한계시록에 나타난 생태적 파괴와 진노를 집단적 복수심의 투영으로 이해하는 로렌스-들뢰즈와 달리, 함께 공감하며 아파하는 하나님 상을 제시하며, 심판을 고통받는 자들의 정의에 대한 호소와 해소로 이해한다. 따라서 켈러는 존재론적 구도와 신 개념의 이해에 있어서는 들뢰즈적이지만, 요한계시록의 텍스트를 해석하는 관점에 있어서는 로렌스-들뢰즈와 그 결을 달리한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D. H. Lawrence wrote “Apocalypse,” his commentary on the Book of Revelation, using the confrontation between Christ and Paul presented by Nietzsche in “Antichrist.” In this book, Lawrence contrasts Christ, who dreamed of a religion of individual noble love, with John of Patmos, who envisioned a religion of collective anger and revenge. Lawrence argues that the Book of Revelation borrows the mythical narrative of death and rebirth from ancient pagans, reinterpreting it as a story of eschatological revenge. This process involved stripping away the rich religious symbols and recasting it in Judeo Christian moral allegory. Deleuze supports Lawrence’s interpretive perspective in his book “Essays Critical and Clinical,” describing the Book of Revelation as a ‘book of zombies’ that reflects the revenge and arrogance of early Christians.
    Catherine Keller believes that the inherent ontology of eternal recurrence leading to Nietzsche-Lawrence-Deleuze is effective in addressing contemporary Christian issues and the climate crisis. From this perspective, she argues for reading the Book of Revelation anew through ‘apocalyptic mindfulness.’ In her book “Facing Apocalypse,” Keller sees the visions in the Book of Revelation not as a deterministic ‘prediction’ of future events revealed by an immutable God, but as a ‘prophecy’ of the difficulties that arise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God is damaged. Unlike Lawrence and Deleuze, who interpret the ecological destruction and wrath in the Book of Revelation as a projection of collective revenge, Keller envisions a God who empathizes and suffers alongside humanity, understanding judgment as a call for justice and resolution for those who suffer. Thus, while Keller shares an ontological structure and concept of God with Deleuze, her interpretation of the Book of Revelation diverges from that of Lawrence and Deleuz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