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역중앙 지방기록물보존관의 공간구성체계 및 공간모형에 관한 연구 -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Space Composition and Spatial Model Planning for the Local Central Regional Archive - Focused on Cases in Japan -)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0.12
14P 미리보기
지역중앙 지방기록물보존관의 공간구성체계 및 공간모형에 관한 연구 -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5권 / 8호 / 451 ~ 464페이지
    · 저자명 : 공순구, 권혁진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에서 생산된 유의미한 지식과 정보를 지역 내에 전문인력과 기록보존을 위한 시설을 갖춘 ‘지방기록물보존관’을 설립하여 지방기록물 관리 원칙에 따라 자주적으로 생산관리하고 활용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향후 지방분권과 국가균형발전의 기초적인 역할을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행정의 책임성과 투명성 강화’, ‘주민 참여 정치 활성화’, ‘지역사회에 유의미한 지식 및 정보 축적’, ‘지방자치단체의 정책개발 능력 강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국내 실정에 적합하며 기록물 관리체계에 따른 지역중앙 지방기록물보존관의 공간구성체계 및 공간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일본의 공문서관은 기록물관리 인프라 형성이 지방기록관리에서 발현하여 그 역사와 관리체계가 잘 형성되어 있다. 국내 법률상의 분류에서 지방기록물관리기관에 속하는 일본 지방 공문서관을 사례대상관으로 선정하였으며 설립주체에 따라 세부적으로 도도부현 2개, 시정촌 4개를 분석하였다. 각 기관에서 발행하는 연보 및 문헌조사를 통해 시설의 일반현황, 도면수집, 공간구성, 소요공간, 면적구성 등을 분석하였으며 문헌에서 분석하기 어려운 세부사항은 담당자와의 서신 인터뷰 등의 방법을 통해 실증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결과) 사례대상관의 분석을 통하여 위계에 따라 지방기록물보존관의 역할이 구분되며 이에 따라 공간구성체계가 다름을 도출했다. 현립 공문서관과 시립 공문서관은 정립 공문서관에 비하여 기록보존의 업무가 중요함에 따라 더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정립 공문서관은 현립 공무서관과 시립 공무서관보다 기록물 활용 및 공공서비스에 대한 면적대비 공간 할애가 더 높았다. 특히 공용영역이 정립 공문서관에서는 월등하게 높게 나오는데 이는 공공서비스 제공측면에서 시설의 복합화여부에 따라 면적구성비에서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복합형 공문서관의 경우에는 이용자의 방문목적에 따라 시설의 영역을 독립적으로 배치하여 공간을 부분적으로 폐쇄하여도 시설 운영에 차질이 없게 하였다. 서고의 배치 및 운영은 보존하는 기록물의 증가량을 고려하여 저층에는 고문서 및 귀중기록물 서고를 배치하고 상대적으로 기록물 증가량이 많은 일반기록물 서고를 고층에 배치하였다. 상대적으로 현립 공문서관 대비 공간 및 예산적인 제약사항이 더 많은 시급과 정급 공문서관에서 보존처리 및 인수등록 공간은 결합하여 활용했으며 서고내부공간을 구분하여 기록물의 유형에 따라 관리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앞서 국내의 사례는 서울기록원과 경상남도기록원에 그치며 아직 지방기록물보존관의 상호협력체계가 전무한 시점에서 국내의 기록물관리체계와 지방행정체계가 유사한 해외사례 분석을 통해 결론을 도출했다. 하지만 연구의 시간적 범위에서 사례대상관보다 기록물관리체계가 발전한 시점에서 연구를 진행한 점을 감안하여 다소 거시적인 관점에서 기초적인 단계의 연구로 진행되었으며 이후 연구에서는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판단한다. 또한 기록물관리체계 및 기록물 전문요원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기록물보존에 이바지하며 기록자치문화의 정착을 위해 향후 기록물활용에 대한 다양한 콘텐츠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a regional archive professional facility by creating a network system that produces, manages, and utilizes regional archives consider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circumstances ; fundamental role in balancing national development and local self-government system in the future. Additionally, transparency in administration, participation of local self-government, accumulating quality information from the local community, and enhancing the ability of local governments to develop policy were expected. This study further aimed to propose a space composition and spatial model planning for local central regional archive considering the regional archive network system. (Method) In Japan's regional archive infrastructure started from local records management and its history and management system are well formed. The archives of two prefectures and four basic units of local government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rough the annuals and literature surveys issued by the respective institutions; general status of the facility, architecture plans, space composition, required space, and area composition were also examined. Details that were difficult to analyze from the literature were obtained via emails. (Results) According to the case analysis, the spatial composition result from the local archives varied depending on their role. Prefectural archives and municipal archives occupied a larger proportion in preserving records than town archives, as the task of record keeping was important. However, town archives had a higher space proportion for the use of records and public services than prefectural and municipal archives. In particular, the common area was much higher in town archives, which is thought to be a difference in the area composition ratio depending on whether the facility is complexed in terms of public service. Layout of the storage space for regional archive is important considering future expansion. It is ideal to have regional archives that are expected to have a steep increase rate on the higher level to adjacent future storage areas with the existing storage. (Conclusion) Cases in Korea were preceded only by the Seoul Archives and the Gyeongsangnam-do Archives. At the time when there were no networking systems between archives,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e analysis of overseas cases similar to domestic records management systems and local administrative systems. Considering the timeline of when the study was conducted and the records management system developed compared to the cases, it proceeded from the somewhat macroscopic viewpoint to the basic stage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preservation of records through an ongoing research on records management system and records specialists, and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contents in terms of utilization to establish a culture of local-government recor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