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세철학에서 「내면성」의 의미-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록』과 와 토마스 아퀴나스의 『영혼론』을 중심으로- (Ls signification de ‘intériorité’ dans la philosophie médiévale’ - Au coeur des ‘Conféssions’ de St. Augustin et ‘De l'Ame’ de St. Thomas -)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09.12
41P 미리보기
중세철학에서 「내면성」의 의미-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록』과 와 토마스 아퀴나스의 『영혼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세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중세철학 / 15호 / 1 ~ 41페이지
    · 저자명 : 이명곤

    초록

    인간존재를 고찰하는 일반적인 관점은 인간을 영혼(정신)과 육체(질료)로 구분하
    여 고찰하는 이원론적인 혹은 일원론적인 관점이다. 하지만 현대의 실존주의에서
    는 ‘내면성’의 개념이 인간을 이해하는 중요한 한 개념으로 부각되고 있는데,
    사실상 이 내면성의 개념은 중세철학에서도 진지하게 고려된 바가 있다. 본 논문에
    서는 중세의 대표적인 철학자라 할 수 있는 아우구스티누스와 토마스 아퀴나스의
    사유에서 ‘내면성’이란 어떠한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는가 하는 점을 다루고 있다.
    아우구스티누스에서 내면성의 개념은 그의 『고백록』에서 잘 드러나고 있는데,
    그는 인간적 삶의 한 가운데서 체험되는 내면성의 의미를 일종의 실존적인 해명(고
    백의 형식)으로 제시하고 있다. 반면 토마스 아퀴나스는 존재의 구조에 대한 형이상
    학적 분석을 통해서 ‘내면성’의 개념을 말해주고 있다. 두 철학자 모두에게 공통되
    는 것으로서의 내면성의 개념은 신(존재)이 존재하는 모든 것의 존재함의 근거(지반)라는 차원에서 이해되는 내적인 것이다. 이는 ‘존재론적인 지반으로서의 기저,
    혹은 근거’를 말하는데, ‘심오함 것’이란 의미를 가진다. 반면 유사하나 차이를
    가지고 있는 점은 보다 실체적인 것이 보다 우유적인 것에 대해 ‘내적인 것’이라는
    관점에서인데, 아우구스티누스는 성인들의 존재방식을 말하면서 진리자체(신적
    인 진리)가 다른 개별적인 진리들에 대해 보다 내적인 것으로 이해하고 있으며,
    토마스는 존재하는 모든 것을 유기적인 통일체로 고려하면서 보다 실체적인 것(고
    유한 것)이 보다 내적인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반면 두 철학자들 사이에 분명한
    차이점을 나타내 보이고 있는 곳은 ‘관계성’ 혹은 ‘열림’에 대한 ‘내면성’의 역할
    혹은 의미에서 이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인간실존의 공허를 채워주는 내면의 풍요’
    혹은 ‘정신적인 것’을 또한 내면성의 의미로 이해하는데, 이는 ‘관계성’을 통해
    형성되는 것이다. 반면 토마스에게 있어서는 관계성을 통해 내면성이 형성되기
    보다는 인간이 보다 내면적이 되면서 보다 타자에로의 열림이 가능하게 되고,
    내면성을 통해서 관계성이 깊어지고 풍요로워진다고 이해되어 진다. 그리고 보다
    분명하게 나타나는 차이점은 토마스에게 있어서는 내면성은 필연적으로 초월성을
    동반하는 것인데, 아우구스티누스는 이점에 대한 언급이 없다는 점이다. 마지막으
    로 아우구스티누스에서는 내면성을 통해서 자아가 완성되어지는 것으로 이해되는
    데, 토마스에게 있어서는 내면성을 통해서 보다 큰 세계로의 열림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관점은 서로 유사하면서도 다른 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내면성에 대한 고찰은 인간과 세계를 이해하는 중요한 한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
    즉 유한한 인간이 어떻게 절대자인 신과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지, 어떻게 질적으로
    다양한 존재로 형성된 세계가 하나의 유기체적 전체(통일성)를 형성하고 있는지,
    어떻게 다양한 한계를 지닌 인간이 타자와 보다 큰 세계로의 열림이 가능한지
    하는 점들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관점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영어초록

    Le point de vue général pour comprendre l'être humain c'est de regarder l'homme
    comme la composition de l'âme(esprit) et du corps(matière) soit par le monisme
    soit par le dualisme. Mais dans l'existentialisme la notion de ‘l'intériorité’ est
    très importante pour comprendre l'homme. Or la notion de l'intériorité est traitée
    aussi sérieusement chez les philosophes au moyen-âge. Dans notre recherche nous
    traitons quelle est la signification de la notion de l'intériorité chez St. Augustin
    et chez St. Thomas qui sont les deux représentants de la philosophie médiévale.
    Chez St. Augustin la notion de ‘l'intériorité’ se manifeste surtout dans ses
    ‘Conféssions’. Il la manifeste comme explication existentielle (fome de la
    conéfession) expérimentée au coeur de sa vie humaine. Par contre st, Thomas
    la manifeste par l'analyse métaphysique de la structure de l'être. La signification
    exactememt la même chez eux, c'est que Dieu(Esse) en tant que fondement de
    tout ce qui existe est l'intériorité de tout être. Dans ce sens là la notion de l'intériorité
    est celle du profondeur comme fondement ontologique. Le point de vue qui est
    resembleant mais différent est que une chose substentielle est plus intérieure que
    celle de accidentelle. Pour St. Augustin la vérité elle-même qui se trouve chez
    les saints est plus inérieure que celle des vérités particulières. Tandis que St. Thomas en considérant les êtres comme unité substentielle, considére ce qui est
    substentiel(propre à l'essence) est plus intérieur que celui de propriétairs. Or ce
    qui est manifestement différant ces deux philosophe, c'est que St. Thomas considére
    l'intériorité accompagne nécessairement la transandance, tandis que St. Augustin
    ne le traite pas. Quant il s'agit de l'intériorité en tnat que ‘spiritualité’ en rapport
    à la relation, St. Augustin pense que l'intériorité est ce qui remplace le vide de
    existence humaine et qu'elle se forme par la relation humaine ou divine. Tandis
    que St. Thomas pense que ce n'est pas la reation qui constutue l'intériorité, mais
    que l'homme en devenant intérieur devenue ‘ouvert’ et sa reation devenue aussi
    profonde. Le dèrnier point de vue est que pour St. Augustin la consciencede soi
    s'accomplit par l'intérioirté, tandis que pour St. Thomas par l'intérioirté il est possible
    de s'ouvert vers un monde plus grand.
    La notion de l'intériorité ainsi compris nous donne un point de vue très important
    pour copmprendre l'homme et le monde. C'est-à-dire pour comprendre les questions
    ainsi : comment l'homme qui est reatif peut avoir la reation avec Dieu qui est
    absolu, comment le monde constitué des éléments divers puet être une unité
    organique et comment l'homme qui possède les limites peut être ouvert aux autres
    et au monde plus gra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세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