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연행록에 반영된 심양(瀋陽) 견문의 형성배경과 그 양상 (The Formation Background and Patterns of “the Observations of Shenyang(瀋陽)” as reflected in the Yeonhaengrok of the late Joseon Dynasty)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4.11
26P 미리보기
조선후기 연행록에 반영된 심양(瀋陽) 견문의 형성배경과 그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문화 / 89호 / 3 ~ 28페이지
    · 저자명 : 채우잠, 한태문

    초록

    이 연구는 조선후기 연행록에 반영된 심양에 대한 견문의 형성배경과 그 양상을 밝힌 것이다.
    먼저, 조선후기 연행사의 심양 견문 형성 배경을 살폈다. 심양은 청나라 황실의 발상지이자 정신적 고향이었고, 병자호란의 패배로 조선인들이 인질이나 포로로 끌려와 생활했던 역사적 공간이기도 했다. 1679년부터 심양이 연행사의 정식 노정에 포함되고, 심양에 순행 온 청나라 황제를 문안하기 위한 심양문안사도 파견되면서 연행사의 심양 견문은 축적되었다. 사행원들은 자신의 소중한 체험을 보존하는 한편 널리 공유하려는 욕구도 강하게 작용했다. 그 결과 연행록에는 이른바 ‘심양 견문’이라 일컬을 수 있을 정도로, 심양에 대한 다양한 견문이 수록될 수 있었다.
    둘째, 연행록에 반영된 심양 견문의 구체적 양상을 살폈다. 사행원들은 심양을 병자호란의 결과 수많은 조선 포로들이 끌려 와 비참하게 생활해야 했던 패전국의 수치와 능욕이 깃든 비극의 공간으로 파악하였다. 또한 화려하고 웅장한 사찰과 단정하게 정비된 민간 祠廟와 달리 방치된 太學을 보면서 불교와 민간신앙 등 이단을 숭앙하고 유교를 천시하는데 대한 비판의식을 드러내었다. 한편 활발한 시장경제와 발달한 선진문화에 대해서는 감탄하고, 풍속에 대해서는 대체로 부정적인 비판을 하되, 실용성을 중시하는 풍속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시선을 보이는 등 양면적인 시각을 노출하였다.
    이처럼 연행록에 반영된 심양에 대한 연구는 조선후기 연행사의 중국에 대한 인식을 엿볼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오늘날 청나라 시대 중국 동북지방의 역사 문헌이 부족한 상황을 보충할 수 있는 소중한 자료로서 그 가치가 있다.

    영어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formation background and patterns of “the Observations of Shenyang” as reflected in the Yeonhaengrok of the late Joseon Dynasty.
    Firstly, the study investigates the formation background of the “the Observations of Shenyang” in the Yeonhaengrok. Shenyang, the birthplace of the Qing Dynasty and the hometown of the Manchu people, was taken hostage or captured by many Koreans after the defeat of Byeongja Hulan (Manzhou invasion) in 1636. From 1679 onwards, Shenyang was incorporated into the diplomatic route to Yeonhaeng. To greet the emperor visiting Shenyang, Joseon dispatched special envoys. With the increasing frequency of these missions, the records of what the envoys heard and saw in Shenyang have gradually increased. The envoys documented their experiences not only to preserve their personal accounts but also to transmit these experiences to others. Consequently, “the Observations of Shenyang” section within the Yeonhaengrok emerged, containing a diverse range of content.
    Secondly, the study analyzes the specific aspects of “the Observations of Shenyang” as reflected in the Yeonhaengrok. The envoys regarded Shenyang as a tragic and humiliating space for Joseon, as the city symbolized the aftermath of the Manchu Invasion of 1636, during which tens of thousands of Koreans were forcibly taken as captives and endured a life of hardship. In contrast to the grand and magnificent temples, as well as the well-maintained local shrines, the dilapidated state of Taehak(Confucian Academy) prompted the envoys to criticize the prominence of Buddhism and local folk beliefs, which they perceived as heretical, because of their strong adherence to Confucianism. Nonetheless, they expressed admiration for the city’s thriving market economy and advanced cultural development. While the envoys generally held a critical view of local customs, they acknowledged and appreciated the practical aspects of certain customs, demonstrating a two-sided perspective.
    In this way, the records of “the Observations of Shenyang” in the Yeonhaengrok not only provide insight into how late Joseon envoys perceived China, but also address the current lack of research in China on historical documents related to Northeast China during the Qing Dynasty, making these records highly valuab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