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연행록을 통해본 18세기 전반 한중 서적교류의 양상 (Book Exchanges between Koreans and Chinese in the Early 18th Century: Focusing on the Records of Traveling to Beijing by Joseon Intellectuals)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09.12
38P 미리보기
연행록을 통해본 18세기 전반 한중 서적교류의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태동고전연구 / 25호 / 227 ~ 264페이지
    · 저자명 : 신익철

    초록

    이 글은 18세기 전반의 연행록을 통해 조선과 청 사이에 서적이 교류되는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18세기의 전체 시기를 다루지 못하고 전반 50년만을 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무엇보다 자료의 방대함에 기인한 것이다. 아울러 연행사의 서적 매입(買入)에는 북경의 유리창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데, 18세기 후반에 이르러서야 북경의 유리창이 서사(書肆)가 밀집한 서적 거리로 형성되었다는 점도 18세기 전후반을 나누어 고찰하는 이유의 하나가 될 것이다.
    18세기 전반의 연행록에 나타난 조선과 청 사이의 서적 교류 양상은 다음의 네 가지 양상이 두드러진다. ① 서반(序班)을 통한 서적 구입; 서반은 사신 일행의 접대를 담당한 청국 예부(禮部) 소속의 관원인데, 연행사의 서책 구입은 주로 이들을 통해 이루어졌다. 서반은 당시 출판문화가 발달했던 강남 지방 출신의 한족으로 서책의 매매를 중개하면서 일정한 이익을 취했다. 서반과 함께 근무했던 통관(通官)의 경우 우리나라 후손들이 담당했는데, 이들 중 일부는《서한연의(西漢演義)》·《두첩여전(杜婕妤傳)》등의 국문소설을 읽으면서 우리글을 익힌 사실이 확인된다. ② 곡응태(谷應泰) 후손가에서의 서적 구입; 북경 외에 연행길 도중에 서책을 매입하는 경우가 보이는데, 그 중 대표적인 풍윤성(豊潤城)에 있는《명사본말(明史本末)》의 저자 곡응태(谷應泰) 후손가에서 서책을 구입하는 사례가 다수 보인다. 당시 풍윤성에는 연행사가 이곳에서 서적을 매입한다는 사실이 널리 알려지면서 서적상의 활동이 활발했던 것으로 보인다. ③ 중국 문사와의 교유를 통한 서적 교류; 연행사는 북경에 머물면서 중국 문사들과 교유하며 최신 서적에 관한 정보나 문학적 관심사를 교환했다. 1712년에 연행한 김창업은 이원영(李元英)을 통해 1708년에 발간된《패문재광군방보(佩文齋廣群芳譜)》를 열람하고 있다. 1720년에 연행한 이기지는 진법(陳法)을 통해《두시상주(杜詩詳註)》(1693년 간행)의 존재를 알고 이 책을 매입했으며, 우리나라의 시문을 보여 달라는 진법의 요구에 응해《읍취헌집(挹翠軒集)》을 빌려준 사실 등이 확인된다. ④ 천주당 선교사를 통한 서학서 접촉; 북경의 천주당은 18세기에 조선의 사신들이 으레 들르는 관광 명소의 하나가 되었는데, 천주당에 대한 관심은 개인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인다. 이 시기에 천주당을 가장 많이 방문한 이기지는 서양 선교사로부터 서양의 서책과 화집 및 지도 등을 선사받았다. 그 중 이름을 밝힌 것으로는《칠극(七克)》3권,《곤여도(坤輿圖)》2권,《천주실의(天主實義)》2권 등이 있다. 한편 이의현은《삼산논학기(三山論學記)》와《주제군징(主制群徵)》등의 서학서와 여러 서양의 물품을 선사받았음을 밝히고 있으며, 유척기는 서양화집을 보고 느낀 감흥을 기록으로 남겼다.
    이 논문은 18세기 전반에 한정해서 조선과 청 사이에 서적이 교류되는 면모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는데, 향후 18세기 후반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러한 작업은 향후 18세기에 연행을 통해 수입된 중국 서적의 유형과 특징 등에 관한 연구로 심화되는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book exchanges between Koreans and Chinese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18th century. This research only deals with the materials of traveling to Beijing conducted for the first fifty years of the century because this century produced vast amount of the travelogue of Beijing. Another reason of excluding the materials produced in the second half of the century is because the late 18th century need to be separately examined in that the Liulichuang district in Beijing was newly established for the special streets of bookstores.

    Book exchanges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18th century between the two parties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as follows:
    1. Purchasing books through the xuban (序班; Chinese officials to guide foreign diplomats in Beijing)
    2. Purchasing books at the house of Gu Yingtai (谷應泰)'s descendent in the city of Fengruncheng (豊潤城).
    3. Purchasing books through Chinse scholars who Joseon intellectuals met during their journeys to Beijing
    4. Contacting books on the West through Western missionaries at the Catholic churches in Beijing

    These categories are expected to provide clues for further researches on the materials of the travels to Beijing by Joseon intellectuals during the second half of the 18th century. This article can eventually be developed for an examination of the general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books imported from China through diplomatic journeys to Beijing in the 18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태동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