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길준의 <西見聞>에 보이는 견문록의 전통과 확대 (Tradition and Expansion of the Records of Observation and Experience during Diplomatic Journey to Japan shown in Yu Gil-jun’s )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3.10
26P 미리보기
유길준의 &lt;西見聞&gt;에 보이는 견문록의 전통과 확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온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온지논총 / 37호 / 99 ~ 124페이지
    · 저자명 : 구지현

    초록

    조선시대 일본 사행을 통해 일본을 관찰하고 기록하는 견문록 류가 출현하였다. 18세기 견문록은 일본지리지의 형태로 발전하였다. 원중거의 일본 사행 경험은 燕巖學派 인물들에게 영감을 주었고, 이덕무의 <청령국지>의 등장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견문록 류의 특징은 개인의 폭넓은 독서와 지식에 대한 개방적 추구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나 공적인 목적을 위한 관료의 기록이었다는 점이다. 유길준은 연암학파의 학문적 세례를 직접적으로 받은 인물이자, 전통적 사행 담당층과 마찬가지로 정부 관료의 길을 걸었다. 『서유견문』의 성립 과정은 전통적 사행 견문록류를 그대로 따르고 있다. 폭넓은 문헌과 실제 견문을 바탕으로 지식의 찬술이라는 전통적 글쓰기 방식에 의해 작성된 <서유견문>은 공적인 목적의 실현을 위한 기록물이었던 것이다. 그런데 더 나아가 유길준은 문물을 연구하여 조선에 도입시켜야 했다. 『서유견문』은 상당 부분 『西洋事情』을 모방하고 있으나 그 배경에는 상하귀천을 막론하고 국인들에게 정보를 제공하여 계몽시키려는 의지가 있었다. 과학적 지식을 담기에 한문은 적절치 않았으며 국인들을 쉽게 이해시키기에 어려운 문어였다. 좀 더 정확한 번역 추구하기 위해 문체를 선별했던 후쿠자와와 달리 개화에 이끄는 계몽 도구로 국한문혼용체를 선택했던 예에서 보듯 유길준은 경세가의 태도로 지식을 다루었던 것이다. 결과적으로 관료와 지식인의 경계에 있던 그의 저작물 <서유견문>은 전통적 견문록류와 <西洋事情>과 같은 지식전달서의 경계에 위치하면서 복합적이고 경계적인 성격을 지니게 되었다.

    영어초록

    Through diplomatic journey to Japan during Joseon dynasty, the records of observation and experience appeared. In 18th century, this kind of records developed into Japanese geography book. Won Jung-geo’s experience of diplomatic journey to Japan inspired the members of the Yeon-am school 燕巖學派 and led to appearance of Yi Deok-mu’s <Cheongryunggukji> . The characteristic of this kind of records of observation and experience is based on personal desire to seek wide reading materials and knowledge openly, however they were written for public purpose by official. Yu Gil-jun who was directly received scholarly affect by Yeon-am school was a government official likewise with traditional officials who conducted diplomatic journey. The writing procedure of 『Seoyugyeonmun』 follows that of the traditional records of diplomatic journey. 『Seoyugyeonmun』 based on comprehensive materials and experience shows traditional writing style of compiling knowledge as a record for fulfilling public purpose. Futhermore, the author Yu Gil-jun had to study culture he experienced and then introduce it to Joseon. Although 『Seoyugyeonmun』 copies much part of 『Seoyangsajeong 西洋事情』, it was written with the purpose for offering knowledge to enlighten people regardless of ranks and classes. Classical Chinese was not proper language to convey scientific knowledge. Also it functioned as difficult written language, so it could not be understood by people. Unlike Fukuzawa who selected proper writing style for more correct translation, Yu Gil-jun dealt with knowledge with statesman’s attitude using Korean and Classical Chinese in combination as a tool of enlightenment for civilization. As a result, Yu Gil-jun who was on the border between official and intellectual wrote <Seoyugyeonmun> which lies on the border between traditional record of experience and a book for knowledge delivery like <Seoyangsajeong 西洋事情> showing complex fe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온지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