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한철 『표해록』의 표류 체험 글쓰기와 문학교육적 의미 (Writing about Sea-Drifting Experience and Its Literary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in Jang Han-cheol's Travel Record 『Pyohaerok』)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0.02
23P 미리보기
장한철 『표해록』의 표류 체험 글쓰기와 문학교육적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주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영주어문 / 44권 / 227 ~ 249페이지
    · 저자명 : 김미선

    초록

    본 논문에서는 장한철 『표해록』의 표류 체험 글쓰기 방식과 특징을 살펴보고, 문학교육적 의미를 정리하였다. 장한철 『표해록』의 글쓰기는 체험을 효과적으로 기술할 수 있는 일기체적 전개를 보이되, 체험이 모두 끝난 후에 정리가 되어 훗날의 개입이 반영되어 있는 특징이 있었다. 또 귀환하면서 글도 마무리 되어 하나의 주제에 집중한 완결성도 가지고 있었다. 장한철 『표해록』의 전체적인 구성 및 내용을 보았을 때, ‘일기체적 전개와 훗날의 개입’이 전체를 아우르는 가장 큰 특징이라 할 수 있으며, 날짜별로 경험을 서술할 때는 어느 다른 글보다 체험을 구체적으로 묘사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 엄청난 위기 속에서도 본인의 감정을 잘 토로하지 않다가, 상황이 거의 끝났을 때 부분적으로 감정을 토로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아울러 체험 중간에 설명적⋅의론적 부분이 들어가 긴장을 이완시키고, 체험에 의미를 부여하고 있었다. 교육적 활용을 위한 전제로서, 장한철 『표해록』의 문학교육적 의미는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었다. 첫째, 기행문학⋅해양문학⋅수필문학⋅일기문학의 특성을 갖추고 있다는 점, 둘째, 표류 체험 글쓰기의 문학적 변이를 볼 수 있다는 점, 셋째, 18세기 제주 선비인 저자의 면모와 섬사람들의 삶을 풍부하게 볼 수가 있다는 점이 그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sea-drifting experience writing style and characteristics and its literary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in Jang Han-cheol's travel record Pyohaerok. His writing of Pyohaerok describes his experience effectively in the form of a diary, yet is well complete with good finishing touches with focus on the single theme of his return to home. In terms of the entire composition and content, Pyohaerok is characterized by the diary-style writing development and good finishing arrangement. Jang Han-cheol makes specific description when he states his experience by date. Further, even amid a great crisis, he reserves his feeling, but lets it out when such critical situation ends. He inserts discussional and explanatory portions into his experience to ease tension, and gives meaning to his experience. As a premise of educational utilization, the literary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of Jang Han-cheol's Pyohaerok can be categorized as three things. First, it is equipp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ravel literature, marine literature, essay literature and diary literature. Second, it shows a literary variation of sea-drifting experience writing. Third, it gives a look at the author as an 18th-century Jeju scholar, as well as an abundance of lifestyles of then Island peop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주어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