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연행록사전 편찬 및 DB 구축 사업’의 성과와 활용 방안 (A Performance and Utilization of ‘Yeonhangrok Dictionary (燕行錄事典) compilation and DB construction project’)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4.11
38P 미리보기
‘연행록사전 편찬 및 DB 구축 사업’의 성과와 활용 방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연구 / 105호 / 11 ~ 48페이지
    · 저자명 : 감준희, 신익철

    초록

    <연행록사전 편찬 및 DB구축 사업>은 500여 종의 연행록을 대상으로 3천여 개의 표제어를 추출하고 백과사전식 편찬과 디지털사전 제공을 통해 연행록을 통합적이고 거시적으로 이해하고 정리하는 데에 디딤돌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사업은 17세기 및 이전 시기 연행록(230종) 3년, 18세기 연행록(122종) 3년, 19세기 연행록(148종) 3년으로 수행기간을 설정하였고, 기록이 다양하고 유의미한 내용이 많은 18세기 연행록을 첫 번째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연행록사전의 체계는 인물⋅공간⋅사회⋅문화예술⋅물명⋅연행용어⋅연행록해제의 7가지 대주제로 구분해 표제어를 추출하고 중요도에 따라 대항목⋅중항목⋅소항목으로 구분하였다. 항목의 서술 체계는 [연관어], [일반정의], [고유정의], [용례], [출전]이다. 기본 공정은 ①원전조사 ②표제어 추출 ③원고 집필 ④연행록사전 DB구축 순이다. 이밖에 다양한 분야의 외부 전문가에게 집필을 의뢰하고, 수차례 콜로키움을 개최하여 사전 원고의 전문성과 정보력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또한 현장답사를 실시하여 연행록 노정과 주요 유적을 직접 확인하고 사진과 영상 등을 확보하였다.
    지금까지 총 9년 동안 3천여 개의 표제어 원고를 완성하였고, 50여 명의 외부전문가 참여와 34회의 콜로키움 개최, 20여 편의 학술논문 양산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향후 연행록사전 DB가 서비스된다면 연행록에 대한 대중적 접근과 이해가 용이해지고 연행록 키워드에 대한 통시적인 고찰과 변화 양상 추적 또한 가능해질 것이다. 또 특정 가문이나 집단의 연행록 집필 및 전승 양상을 살피거나 조선의 대중국 인식 및 중국 문인들과의 교류 양상 같은 양국 관계사에 관련된 작품들을 계보적으로 고찰할 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Yeonhangrok Dictionary (燕行錄事典) compilation and DB construction project’ attempted to provide a stepping stone for integrating and macroscopic understanding and organizing Yeonhangrok by extracting 3,000 title words from 500 types of Yeonhangrok, compiling encyclopedias and providing digital dictionaries.
    In this project, set the study period for three years of 17th and previous Yeonhangrok (230 types), three years of 18th-century Yeonhangrok(122 types), and three years of 19th-century Yeonhangrok(148 types), and first targeted 18th-century Yeonhangrok with various records and many meaningful contents.
    The Yeonhangrok dictionary's heading system reflects the diversity of Yeonhangroks, and it is divided into seven main themes: people, space, society, culture and arts, names of things, Yeonhang terms, and Commentary on the Yeonhangrok, and classified the heading into three categories: major, medium, and small items according to importance. The basic narrative system of the item is 'associated word', 'general definition', 'unique definition', 'example', and 'source'. The basic process of the project is in the order of ①original survey, ②headword extraction, ③manuscript writing, ④Yeonhangrok dictionary DB construction. In particular, external experts in various fields were asked to write, and several colloquiums were held to reinforce the expertise and information power of the advance manuscript. In addition, an on-site survey was conducted to directly check the travel route and major historical sites, and photos and videos were secured.
    As a result, over 3,000 headwords were written over a total of nine years of research, and various achievements were achieved, including the participation of more than 50 outside experts, 34 colloquiums, and the mass production of more than 20 academic papers. Public access and understanding of Yeonhangroks will be much easier if a Yeonhangrok dictionary DB is established and serviced in the future. Additionally, diachronic consideration and tracking of changes in Yeonhangrok keywords like people and spaces will be possible. It is anticipated that it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examine the Yeonhangrok writing and transmission patterns of a specific family or group, or to Genealogical Study related to the history of bilateral relations, such as Joseon's perception of China and exchanges with Chinese writ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