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8·19세기 조선과 일본의 인삼 재배기록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cords of Ginseng Cultivation between Joseon and Japan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1.09
32P 미리보기
18·19세기 조선과 일본의 인삼 재배기록 비교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세계문화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 60호 / 33 ~ 64페이지
    · 저자명 : 이철성

    초록

    이 연구는 18-19세기 조선과 일본의 인삼재배 기록에 나타나는 저술의 목적과 배경 그리고 재배 기술을 비교하여 인삼 재배법의 수준과 그 의미를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밭에서 키우는 인삼재배 역사는 문헌 부재라는 현실적 장벽에 부딪혀 분명히 밝혀지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인삼재배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동아시아의 인삼 무역네트워크의 토대를 밝히는 근본적 연구임이 분명하다. 조선의 인삼재배와 일본의 조선인삼 시험재배 기록을 살피는 것은, 한일 인삼 산업의 토대와 수준을 가늠하고, 19세기 이후 중국시장에서 조선 인삼의 비중을 이해하는 가교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19세기 서유구의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중 <인삼(人蔘)>이 18세기 이후 농서 상 인삼경작의 핵심적인 내용을 총정리한 이론서라면 이학규의 『낙하생집(洛下生集)』 중 <삼서>는 핵심 이론을 전제한 위에서 현장의 재배 기술과 경험을 나눌 수 있는 활용서라고 평가하였다. 한편 사카노우에의 『조선인삼경작기(朝鮮人蔘耕作記)』와 이학규의 『낙하생집(洛下生集)』 중 <삼서(蔘書)>의 기록을 비교 검토하여, 전자가 조선 인삼의 시험 재배단계의 내용을 삽화를 섞어 알기 쉽게 저술한 보고서라면, 후자는 인삼의 생태학적 특징과 재배단계별 내용이 이론적·실용적으로 종합 정리되는 단계의 기록이었다고 평가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level and meaning of ginseng cultivation methods by comparing the purpose, background, and cultivation techniques of the 18th and 19th centuries of Joseon and Japan's ginseng cultivation records.
    The history of ginseng cultivation in the fields has not been clearly revealed due to the lack of literature. However, it is clear that ginseng cultivation is a fundamental study that sheds light on the foundation of the ginseng trade network in East Asia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壬辰倭亂] and the Manchu Invasion of Korea[丙子胡亂]. The reason why Joseon’s ginseng cultivation and Japan’s cultivation records are being examined is because they serve as a bridge between the foundation and level of the Korean and Japanese ginseng industry and understand the proportion of Korean ginseng in the Chinese market after the 19th century.
    Accordingly, if “Insam[人蔘]” in the 19th century’s “Imwonkyeongjeji[林園經濟志]” is a theory that summarizes the core contents of ginseng cultivation in agricultural books after the 18th century, Lee Hak-kyu’s “Samseo[蔘書]” in “Nakhasaengjip[洛下生集]” is a guide to sharing cultivation skills and experiences in the field on the premise of core theory.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Sakanoue's “JoseonInsamkyongjakgi[朝鮮人蔘耕作記]” and Lee Hak-kyu’s “Nakhasaengjip”, the former is a simple experimental report written by mixing illustrations of the test cultivation stages of Joseon ginseng, the latter evaluated that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ginseng and the contents of each cultivation stage were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organiz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