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몽유록의 비평적 기능과 그 저변의 확대 (The critical function and the enlargement of base of Mongyurok)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7.12
28P 미리보기
몽유록의 비평적 기능과 그 저변의 확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민족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민족문화연구 / 60권 / 60호 / 165 ~ 192페이지
    · 저자명 : 김정녀

    초록

    몽유록은 역사적 사건이나 인물에 대한 논평을 통해 작가의 정치․사회에 대한 비판 의식을 우의적으로 그려낸 작품이며, 현실 비판적 성향이 몽유록 양식의 일반적 특징으로 이해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오랜 시간 창작되고 향유된 몽유록의 양식적 특징을 일률적으로 말하기는 어렵다. 이에 본고에서는 작품의 창작 동인에 따른 ‘몽유록의 기능’을 유형화하여 살펴봄으로써 몽유록의 비평적 기능과 그 양상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작품의 창작 동인에 따라 몽유록의 기능은 (1) 사적 기억의 공론화를 통한 지배 담론에 대한 대항, (2) 지식의 수용을 통한 새로운 담론의 생산, (3) 비평 영역의 확대에 따른 개인적 관점 표출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반드시 통시적 양상을 띠는 것은 아니지만 특정 시기별로 주도적인 경향은 확인되며, 비평 대상과 영역은 후대로 갈수록 그 저변이 확대되었다고 볼 수 있다. 조선 중기 몽유록은 정치․사회 현실의 모순을 비평 대상으로 삼고 있고, 지배 담론에 대한 대항의 성격을 지니고 있기에 이 시기 몽유록의 정치적 기능은 특기할 만하다. 조선 후기 몽유록의 경우는 비평 대상이 중국의 역사와 인물, 이계(異界)의 인물, 소설 속 인물 등으로 확대되면서 지식의 수용을 통한 다양한 담론이 생산되고 유통되었다. 특히 19세기 몽유록의 경우는 특정 인물이나 사건에 한정되었던 비평 영역이 확대되면서 개인의 취향과 관심이 반영된 문화 비평적 양상을 보이기도 하였다. 조선 중기에 창작된 몽유록이 정치비평의 성격을 뚜렷이 지니고 있는 데 비해, 조선 후기의 몽유록은 정치비평 외에도 역사비평, 문예비평, 문화비평 등으로 다양한 비평의 양상을 보였다.
    본고는 특정 시기에 산출된 몽유록 작품의 성향이 몽유록 전체의 작품 지향으로 이해되고, 또 현실 비판적 성향을 보이지 않는 일군의 작품은 주제의식이 빈약한 희필(戲筆)로 오해되어온 그간의 연구에 대한 문제제기에서 출발한 것이다. 본고를 통해 몽유록이 오랜 기간 비평 영역과 대상을 확대하면서 다양한 비평적 기능을 담당해온 역사적 장르임을 재확인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Mongyurok is the genre of the works which allegorically expressed the criticism for politics and society through commenting historical events or figures, and the tendency of criticism to social reality is understood as the general property of Mongyurok style. However, It’s hard to make mention of stylistic characteristic uniformly about Mongyurok that had been created and enjoyed for a long time. Therefore, This paper want to make certain the critical functions and the phases of Mongyurok by categorizing ‘the function of Mongyurok’ in the perspective of creative motivation.
    Depending on the creative motivation of the works, the functions of Monyurok are divided into three.:(1) the function of the resistance against dominant discourses through publicizing private memories (2) the function of the new discourse production through accepting the knowledge (3) the function of the personal viewpoints expression by extending critical domain. Though these functions do not necessarily appear the diachronic aspect, the leading function is identified by specific periods, and targets of criticism and domain of criticism is likely to enlarged as time passes. As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Mongyurok made the contradiction of political․social reality the criticism target and had its own resistant characteristic against dominant discourses, the political function of Mongyurok at this time deserved special mention. As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the critical targets of Mongyurok were extended to china’s history and figures, the figures in out of world, and the characters in novels, various discourses were created and distributed through accepting knowledge. Especially Mongyurok in the 19th century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 criticism aspects reflected individual tastes and interests, extending the critical domain which had been limited to special figures or events. While the Mongyurok created in the middle of Joseon had the political criticism characteristic, Mongyurok created in the late of Joseon was varied the critical domain and targets as history criticism, literary criticism, and culture criticism and so on, apart from politics criticism.
    This study has been set on the presentation of a problem for the previous studies that the tendency of Mongyurok works being produced at certain times was understood as the direction of all the Mongyurok works, or a group of works not showing the tendency of realistic criticism was misunderstood as the humble writings that was poor in thematic consciousness. Through this study, I expect to reconfirm Mongyurok as the historical genre that Mongyurok was in charge of the various critical functions, extending the critical domains and targets for a long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