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중록」에 나타난 혜경궁 홍씨의 현실 인식 연구 –「읍혈록」(1802)과 「병인추록」(1806)을 중심으로 (A study of Hyegyunggung’s perception of reality in Hanjoongrok)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4.04
31P 미리보기
「한중록」에 나타난 혜경궁 홍씨의 현실 인식 연구 –「읍혈록」(1802)과 「병인추록」(1806)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문학학회
    · 수록지 정보 : 여성문학연구 / 61호 / 136 ~ 166페이지
    · 저자명 : 김정경

    초록

    이 글의 목적은 사도세자의 죽음에 대한 영조와 정조의 모순된 태도 그리고 사도세자와 홍씨 가문이 같은 운명에 처해 있다고 보는 혜경궁의 관점이 어떠한 인식론적 토대에서 비롯하는가를 밝히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혜경궁이 1802년과1806년에 쓴 「한중록」 제3부의 1편 「읍혈록」과 2편 「병인추록」을 주된 연구대상으로 했다. 지금까지의 논의들이 혜경궁의 ‘어머니’ 또는 ‘딸’로서의 정체성을 강조했다면, 본고에서는 글쓰기 주체로서의 혜경궁에 좀 더 초점을 맞추었으며, 「한중록」 제3부에 나타난 가문의 위기와 그 극복 과정을 서술하는 방식이 가문의 종통과 입후를 주된 소재로 하는 국문장편소설과 유사하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본론에서는 영조와 정조 그리고 혜경궁을 이와 같은 관점에서 차례대로 검토했는데, 먼저 영조는 혈연을 지움으로써 지위를 강화하고자 했으며, 정조는 지워진 혈연을 되찾기 위해 지위를 포기하려 했다는 사실을 알았다. 또한 정조와같은 태도를 가진 듯 보이는 혜경궁이 사실은 영조는 물론이고 정조와도 대립적인 입장이라는 것을 밝혔다. 상반된 것처럼 보이는 영조와 정조의 행위가 혈연과지위의 엄격한 분리를 공통적으로 전제하고 있으며, 혜경궁은 이들과는 반대로혈연과 지위의 긴밀한 관계를 지향한다고 본 것이다.
    혜경궁의 국문장편소설 독자로서의 성격에 주목하면 그녀를 홍씨 가문의 대리인으로만 보는 것을 넘어서 당대 사회의 중요한 갈등과 문제의식을 간파하고이를 서사화하는 인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한중록」이 조선 후기 가부장제가본격화되는 데 대한 불안과 저항을 담고 있는 텍스트임을 알게 된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delve into the differing epistemological viewpoints of Yeongjo and Jeongjo concerning the deaths of Sado, and Hyeokgung’s belief that Sado and the Hong clan share a common destiny. To achieve this, we focus on the third part of the Hanjoongrok. While previous analyses have highlighted Hye gyeonggung’s role as “a mother” or “a daughter,” this article places emphasis on her portrayal as a literary figure. Additionally, it observes that Hyegyeonggung’s narrative of the family crisis and its resolution bears resemblance to Korean long form fictions which center around family lineage and succession.
    In the main body of the text, we sequentially examine Yeongjo, Jeongjo, and Hye gyeonggung from this perspective. It is revealed that Yeongjo aimed to consolidate his authority by disregarding blood relations, whereas Jeongjo sought to relinquish his position in order to restore the obliterated blood ties. Furthermore, it becomes evident that Hyegyeonggung, though appearing to share Jeongjo’s stance, actually stood in opposition to both Yeongjo and Jeongjo. The ostensibly contradictory actions of Yeongjo and Jeongjo stem from a shared principle of rigidly separating kinship from social status, whereas Hyegyeonggung aims for a closer intertwining of the two.
    In conclusion, this article interprets Hyegyeonggung as a discerning figure who articulates and narrates significant conflicts and societal issues of her era. In essence, it views Hanjoongrok as a literary work that reflects a response to and defiance against the prevailing patriarchy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e act of reading and writing of women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can be seen as a highly visible political and public activity within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여성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