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쟁의 기억과 <임진록>- <임진록> ‘역사 계열’ 한문본을 중심으로 - (Imjin-rok: Memories of Imjin War - focusing on Imjin-rok history-based classical Chinese version -)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4.05
29P 미리보기
전쟁의 기억과 &lt;임진록&gt;- &lt;임진록&gt; ‘역사 계열’ 한문본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문학연구 / 29호 / 7 ~ 35페이지
    · 저자명 : 정길수

    초록

    본고에서는 <임진록> 역사 계열 한문본을 중심으로 ‘임진왜란’이라는 실재했던 사건이 체제 유지를 위한 보수적 시각에서 왜곡된 형태로 기억되는 방식을 추적했다. <임진록> 한문본에서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주요 왜장들을 한 시대의 영웅으로 그리는 한편 왜군 병력을 과장함으로써 임진왜란이 애당초 조선이 감당하기 어려운 전쟁이었음을 강조했다. 반면 조선의 전쟁 대응 실패 원인을 조정 신하들의 무능과 무기력, 私意에 의한 黨爭에서 찾았다. 관군과 의병의 활약이 이어졌으나 왜군을 격퇴하기에는 역부족이었고, 따라서 조선의 살 길은 오직 명나라의 구원에 달려 있다는 것이 작자의 판단이었다. 그리하여 명나라 神宗은 조선 구원의 열쇠를 가진 절대자로, 명나라 원병의 지휘자 李如松은 조선의 구세주로 그려졌다. 강력한 명나라 군대에 關羽의 神兵까지 합세하여 왜군을 물리친바, 명나라는 임진왜란으로 멸망의 위기에 처했던 조선을 다시 일으켜 준 은혜, 이른바 ‘再造之恩’을 베푼 나라가 되었다. 이 과정에서 명나라의 구원을 이끌어낸 핵심 인물은 조선의 절대존엄 宣祖였다.
    1649년 이후 창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임진록> 한문본에서는 임진왜란을 ‘승리한 전쟁’으로 호도하는 한편 임진왜란을 승리로 이끈 공로를 명나라와 국왕 선조에게 돌리고자 했다. 이는 임진왜란 종전 이후 조선 조정의 전쟁 평가와 동일하다. 작품 전반에 투영된 崇明意識을 통해 宣祖에서 仁祖로 이어지는 정통성이 강조된바, <임진록> 한문본의 임진왜란 기억 방식은 春秋大義와 對明義理를 표방하며 丙子胡亂의 치욕을 완화하거나 병자호란 전후의 조정 대응에 대한 의문을 불식하고자 한 계층의 생각과 잘 조응된다.

    영어초록

    Imjin-rok is a Korean historical novel in late Joseon dynasty. I researched a method of remembering Imjin War(Japanese invasions of Korea, 1592-1598) distortedly from the conservative perspective. The author of Imjin-rok(history-based classical Chinese version) emphasized that it was impossible Joseon defeated Japan on its own by describing Toyotomi Hideyoshi as the hero of heroes and exaggerating Japanese military capabilities. On the other hand, he attributed blame to party strife of Joseon vassals for failing defense. So he thought the destiny of Joseon depended on the military aid of Ming. As a result, it was described the emperor of Ming as the absolute, commander-in-chief Li Rusong李如松 as a messiah, and Seonjo宣祖 as a key figure who derived rescue from Ming.
    The author of Imjin-rok(classical Chinese version) wanted to make people aware of Imjin War as ‘successful war’, and attributed ‘the success’ to Ming and Seonjo. It was the same with the estimation of Imjin War that Joseon royal court made after the war. Furthermore, the method of remembering Imjin War in Imjin-rok agreed with the thought of the ruling class who wanted to relieve the disgrace of Byeongja Horan(Second Manchu invasion of Korea, 1636) by emphasizing the worship of Ming dynasty and the legitimacy of Injo仁祖 in succession to Seonj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