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세기 일본 간행 조선본 근사록집해(近思錄集解) 연구 (A Bibliographical Study on the Joseon Editions of Jinsiliujijie in Japan in the 17th century)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1.03
36P 미리보기
17세기 일본 간행 조선본 근사록집해(近思錄集解)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 / 44권 / 1호 / 43 ~ 78페이지
    · 저자명 : 이유리

    초록

    성리학 입문서로서 동아시아에서 널리 읽힌 성리학서 중 하나인 『근사록집해(近思錄集解)』는 일본의 경우 17세기부터 널리 읽힌 것으로 생각된다. 17세기 일본에서는 임진왜란 당시 약탈된 조선본 및 활자 인쇄 기술을 토대로 새로운 지식이 보급되는 한편, 상업 출판이 발전하게 되었다. 『근사록집해』 의 전반적인 수용 양상 역시 이러한 당시 일본의 전반적인 흐름과 부합하여, 초기에는 개인에 의해 원본 소장・필사・고활자판 간행을 통해 수용하였다. 이때 수용된 조선본은 적어도 2종으로, 1519년 봉성정사본과 1566년 청량서원본이다.
    한편, 상업 출판이 급증하는 17세기 전반 이후에는 상업 출판으로 간행되었다. 상업 출판으로 간행된 12건의 본문은 조선본을 토대로 기타 간본을 참고하여 교정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간행 서사마다 명판본의 일부 양식을 본문과는 상관없이 차용한 경우도 보인다. 이를 통해 조선본뿐만 아니라 3종의 명판본이 함께 일본에서 유통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업 출판으로 처음 간행한 것은 후게쓰소치(風月宗知)이나, 이후 요시노야 곤베에(吉野屋權兵衛)에서 이를 포함한 다른 서사의 책판을 인수하거나 조선 봉성정사본을 새롭게 복각하기도 하는 등 당시 일본에서 이 책을 가장 활발히 간행하였다.

    영어초록

    As a primer on Confucianism, one of the most widely read Confucian scholarships in East Asia, 「Jinsiliujijie(近思錄集解)」 is thought to have been widely read in Japan in the 17th century. In 17th century Japan, new knowledge became popular and commercial publishing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looted Joseon Dynasty and typographic techniques during the Imjin War. The overall aspect of acceptance of 「Jinsiliujijie」 also coincided with the overall flow of Japan at this time, and was initially accepted by individuals through the collection of originals, manuscripts, and high‒capacity capital. At this time, there were at least two types of Joseon, including Bongseongjeongsa(鳳城精舍) in 1519 and Cheongnyangseowon(淸凉書院) in 1566.
    On the other hand, commercial publishing was published after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when the commercial publishing skyrocketed. It is thought that the 12 editions published by commercial publishing were corrected with reference to other publications based on the Korean version. In addition, some forms of nameplates were borrowed from each narrative, regardless of the text.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not only the Korean version, but also three types of nameplates were distributed in Japan.
    In addition, it was published for the first time as a commercial publication, but it was most actively published in Japan at the time, such as Fugetsusochi(風月宗知) of a book version of other narratives from Yoshinoyagonbee(吉野屋權兵衛), or the reprinting of a copy of the Bongseongjeongsa.
    However, in this study, it was not possible to identify the specific texts referenced in the high‒capital and wide‒angle script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is, and further study of the acceptance pattern of the Joseon Dynasty 「Jinsiliujijie」 in Japan in the 17th century is need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