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초기 왕릉 제례의 제도적 모색과 俗祭로의 재편 (The Institutional Exploration and Reorganization to “Customary Worships” of The Ancestral Rites at Royal Tombs in Early Chosŏn)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24.03
37P 미리보기
조선 초기 왕릉 제례의 제도적 모색과 俗祭로의 재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시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선시대사학보 / 108호 / 115 ~ 151페이지
    · 저자명 : 정쩌싱

    초록

    조선 초기의 왕릉 제사는 『국조오례의』에서 俗祭로 정착되었다. 그 이전의 정비 과정에서 조선 지배층들은 왕조 교체 이후 일어난 이념적 변화에 따라 고려 시대와 다르게 왕릉 제사의 위상과 성격을 파악하기 위한 지속적인 모색을 시도해 왔다. 관원들은 유교적 이데올로기를 수용하면서 왕릉 제사가 종묘 제사처럼 유교에서 규정되는 古制가 아니라는 점을 강조했다. 그럼에도 왕릉 제사를 국가 예제에 포섭하기 위해 俗禮라는 예학적 근거에 입각하여 제례 정비를 시도하였다.
    먼저 인정과 의리라는 의례의 보편적 가치에서 출발하여 왕릉 제사를 민간에서 오래 행해져 왔던 분묘 제사의 관행으로 받아들이고 그 실행의 당위성을 인정하였다. 한편, 유교 경전이나 중국 예제가 미치지 못한 부분들은 지역적 특수성을 반영한 조선의 관행을 준용하기도 했다. 이같이 조선 초기의 왕릉 제례 정비는 종묘 제례 등 고제와의 차별화를 염두에 두고 속례를 적용하여 경전 규정과 풍속 실천, 그리고 중국 예제와 조선 관행 사이의 격차를 조율ㆍ활용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이러한 왕릉 제례의 전개 양상은 특히 時日과 祭需에 관한 규정 제정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왕릉 제사의 시일은 종묘 제사와 같이 ‘사맹월, 삭망일, 속절’로 되어 있다. 고제의 정법인 사시대향을 왕릉에서도 시행했는데, 이는 일단 국왕 친제 시간 등의 면에서 엄격히 경전의 규정대로 시행하는 종묘 사시제와의 구별을 확보함으로써 그 가능성을 찾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민간의 관행이었던 속절 제사를 사시제의 위상과 구별되는 別祭로 취급하고 제도적으로 정착시켰다. 왕릉 제사의 제수 사용 또한 고제에서 쓰는 희생 등 예료를 배제해야 했기 때문에 조선 왕실의 상식, 곧 고려 시대부터 이어진 유밀과를 포함한 素膳이 채택되었다. 아울러 ‘生時’ 원칙을 적용한 원묘 제사에서 肉膳 사용이 이루어진 반면, 불교의 영향과 함께 ‘神道’ 원칙의 적용으로 왕릉 제사에서는 소선 사용을 유지하였다.
    조선 초기의 제례 정비 과정에서는 고려 시대부터 이어져 온 예제 전통에 대한 재검토가 수반되었고 속제라는 새로운 변사 범주가 생겨났다. 이 시기 왕릉 제례 정비의 전개는 최종적으로 속제로의 재편을 이끌어 가는 제도적 모색의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속제로 정착되기 전의 왕릉 제례의 정비는 분묘 제사, 왕릉 제사 등에 관한 의례 자원을 속례라는 예학적 근거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다각적 활용을 통해 조선 나름의 기준으로 재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ancestral rites at royal tombs were institutionalized as one of “Customary Worships” in Manual for the Five Categories in early Chosŏn. Before this, the ruling class attempted continuously to figure out the ritual status and characters of the worships at royal tombs in response to the ideological changes occurring during the alternation of dynasties. Officials emphasized that the worships at royal tombs, unlike that at the royal shrine, were not regulated by traditional Confucian rituals. Despite this, in order to incorporate the rites at royal tombs into national ritual system, they managed to reorganize the rites based on the principle of “customary rites”.
    In view of the universal values such as human nature and righteousness, officials acknowledged the appropriateness of worships at graves that had long been observed in folk customs. On the other hand, as for the regulations that were not shown in Confusion classics or Ming’s rituals, Chosŏn’s own customs were allowed for application. Thus, the organization of ancestral rites at royal tombs in early Chosŏn aimed to distinguish customary rites from traditional Confucian rituals while adjusting gaps between classics texts and customary practices, Chinese rituals and Chosŏn’s customs. This can be observed via the organization of the timings and the offerings of worships at royal tombs.
    The timings were set as “four seasons, syzygy days, traditional festivals”, The worships in four seasons, recognized as the most distinctive one only in Confucian rituals, was also adopted in rites at royal tombs with an effort to secure its feasibility by differentiating its start time from that of worships at royal shrine which must be punctual according to Confucian rituals. Moreover, the worships at royal tombs on traditional festivals also switched to regulations from folk customs, given the name of “additional worships” to distinguish from Confucian rituals. The offerings were Chosŏn’s common plain dishes including yumil-kwa that had been passed down from Goryeo, as it had to exclude sacrifices used in Confucian rituals. While meat dishes were used in worships at Wŏnmyo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reality”, the influence of Buddhism and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holy” led to the maintenance of plain dishes in worships at royal tombs.
    The ruling class in early Chosŏn reassessed and reorganized Goryeo’s rituals and consequently created a new institutional ritual category called “Customary Worships”. Before the ancestral rites at royal tombs were finally classified as “Customary Worships”, the process of its establishment was a continuous and multilateral institutional exploration. By means of various interpretations and multifaceted utilization to the principle of “customary rites”, it was possible to reshape ritual resources related to worships at graves and reorganize the rites at royal tombs according to Chosŏn's own criteri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선시대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