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임길택 동시집 『탄광마을 아이들』 연구 - 이미지로 표출된 정동의 페다고지 - (A study on Lim Gil-taek’s “Children in Coal Mine Village” -a pedagogy of ‘affect’ expressed as an image)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21.12
43P 미리보기
임길택 동시집 『탄광마을 아이들』 연구 - 이미지로 표출된 정동의 페다고지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 수록지 정보 : 아동청소년문학연구 / 29호 / 133 ~ 175페이지
    · 저자명 : 신동재

    초록

    이 연구는 임길택의 동시를 새로운 이미지론 이해를 바탕으로 적실성과 내적 정합성을 갖출 수 있게 새롭게 해석해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임길택이 어떤 과정을 통하여 아이, 학부모와 ‘자기 동일성’을 가지게 되었는지를 살펴보고, 사북 사건이 왜 임길택의 어린이시 지도, 동시 쓰기의 결정적 계기가 되었는지 살펴본다. 또한 임길택에게 어린이시 지도와 동시 쓰기란 어떤 의미의 일이었는지를 ‘페다고지의 구축’이라는 관점에서 살펴보고, 임길택이 표현한 ‘아버지’ ‘밝음’의 이미지가 그의 시 전반에 흐르는 비애와 고통의 이미지와 어떤 연관 관계를 가지며, 작성됐는지 살펴보며 이상의 논의를 종합해 임길택이 『탄광마을 아이들』에서 구현한 동시 이미지가 욕망하였던 것은 무엇이었는지 논한다. 임길택은 마주침의 체험을 통해 학부모, 학생과 ‘자기 동일성’을 느꼈으며, 그것은 결정적으로 사북 사건을 거치며 그를 ‘아이 되기’의 경지로 이끌어 간다. 그의 ‘아이 되기’ 욕망은 사유의 차원만으로는 불가능한 것으로 간주되어 결국 ‘이미지’의 형태로, 그중에서도 동시로 돌발된다. 임길택은 아이의 목소리를 의식화된 차원으로 끌어올리며 아버지와 밝음의 이미지를 창조함으로써 탄광마을에서의 삶을 보다 극적으로 표현하고 슬픔의 크기를 극대화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newly interpret Lim Gil-taek’s poem for children so that it can have adequacy and internal consistency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new image theory.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s how Lim Gil-taek became “self-identity” with children and parents, and examines why the Sabuk incident served as a decisive opportunity for Lim Gil-taek’s teaching and writing of poerty for children. In addition, we examine what it meant to teaching and writing a children’s poem to Lim Gil-taek from the perspective of “building a pedagogy.” And we examined how the images of “father” and “bright” expressed by Lim Gil-taek relate to the images of sorrow and pain flowing throughout his poem. Taking the above discussions together, we discuss what the poem’s image that Lim Gil-taek embodied in “Children in Coal Mine Village” was desired. Lim Gil-taek felt “self-identity” with parents and students through the experience of encounter, and it crucially leads him to a state of “being a child” through the Sabuk incident. His desire to become a child is considered impossible only in terms of thought, and eventually occurs in the form of an image, especially in his poems. Lim Gil-taek expresses children’s life in a coal mine village more dramatically and maximizes the size of his sadness by raising the child’s voice to a conscious level and creating an image of brightness and fath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동청소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