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다문화교육맥락에서 전통문화을 주제로 한 미술교육의 접근방법 (Building Cultural Identity through Art Education in relat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06.12
29P 미리보기
다문화교육맥락에서 전통문화을 주제로 한 미술교육의 접근방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교육연구논총 / 20권 / 129 ~ 157페이지
    · 저자명 : 백령

    초록

    본고는 다문화 사회에서 미술교육을 통해 스스로의 지역과 전통 문화를 새롭게 해석하고 이에 대한 학습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정보와 지식을 전달하고 습득하는 수직적인 학습에서 벗어나 교재가 다양하게 제공되고 학습자 스스로가 관찰하고 사려하여 이해하는 학습으로 변화하기 위한 시도이다. 스스로의 문화이해와 정체성이 기반이 되어야 다른 문화를 학습하고 이해하며 포용하는 다문화교육이 가능하다 할 수 있다. 본고는 우리 문화이해의 기회를 전통미술에서 찾고자 하였으며 우리 미의식에 대한 이해를 위해 우리 전통미술의 언어와 상징적 의미 고찰 하였다. 또한 새로운 교수방법과 교안의 구성요소로 전통미술을 전통미술의 언어로 학습하고 이와 연계되는 현대작가의 작품을 학습하며 주제를 중심으로 한 창의적 글쓰기와 제작 활동을 제안 한다. 자아를 실현하고 타아를 이해하는 첫 걸음을 문화 속의 발견과 이해로 미술활동으로 시작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multicultural education, cultural identity, Korean tradition art, its aesthetics, and education and also to find out useful components for art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classroom. Even though it is not a new concept of education, current discussion on the topic brings out new perspectives and thinking in the field of education.
    Art education including art-making, thinking, appreciation has to be reexamined and organized according to our culture (pattern of thoughts). Healthy self-identity and understanding of others can be gain though art education since a complex process, art can reveal not only reveals a part of themselves but also relates to their lives and environments.
    Strategies were devised for three units with 5 steps providing visual information and material for motivation, art appreciation, creative writing or integrated lesson, art-making, reflection on their works and their tradition art and culture in terms of examining on the works of well-known contemporary artists. Using contemporary artists will bring out new perspective to understand art for the participants.
    The following areas were examined: (1) post modern conditio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cultural identity ; (2) Korean tradition art, its genre and aesthetics; (3) reflective interpretation as related to post-modern values in the visual arts (4) contemporary artists practicing tradition art.
    Three units (four lessons each) were devised with related themes: (1) architecture and nature, (2) motives, design and life; (3) being a member of society and self-identity.
    The curriculum assumes that understanding is gained when students can refer to their own experiences; when the students' own lived experiences are integrated into an art experience. In post modernity, the grand narration of history is examined for our different perspectives; all of us become others to each other. It requires a new kind of sensitivity and tolerance, opening the door to everyone in our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