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도시 외부로 확장된 현대미술 전시공간의 유형 및 사례연구 (A Study on Type Classification and Case study of Extended contemporary art exhibition space to outside of urban space)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13.07
11P 미리보기
도시 외부로 확장된 현대미술 전시공간의 유형 및 사례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디지털디자인학연구 / 13권 / 3호 / 181 ~ 191페이지
    · 저자명 : 이하나, 서주환, 여화선

    초록

    최근 도시의 거리에서는 어렵지 않게 다양한 현대미술들의 전시나 설치된 모습을 만날 수 있다. 과거 박물관과 미술관과 같은 건축물 내부에 제한되어 특별한 계층의 전유물에서 벗어난 오늘날의 미술은 도시의 거리, 건축물, 도시기반시설 등으로의 확장은 시대적인 흐름이며, 대중에게 문화적인 삶을 제공하고자 하는 사회적인 가치가 반영된 현상으로 설명될 수 있다. 하지만 정부나 여러 단체의 정책과 제도를 통해 이를 지원하고 있지만 오늘날의 현대미술을 반영하기에 역부족이며, 작업의 배경 혹은 오브제가 되고 있는 전시공간 자체에 대한 연구도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도시의 외부공간을 구성하는 가로경관, 기반시설 등에 기초하여 재구성한 유형을 기초로 도시의 외부에서의 현대미술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크게 도시의 물리적 구성요소인 도시기반시설, 수직적 요소(건축물), 수평적 요소의 3가지 유형으로 사례조사를 진행하였으며, 건축물은 외형, 벽면(파사드), 개구부의 구성요소로 구분하여 사례를 조사하였다. 도시기반시설, 수직적 요소, 수평적 요소의 전반에서 다양한 현대미술의 활동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특히 수직적 요소인 건축물이 타 요소에 비하여 많은 사례를 보였으며, 이는 다양한 수요와 작업과 절차의 용이성에 기인한다고 판단된다. 반면에 정부기관이나 지자체 등의 단체와 협업이 반드시 필요한 도시기반시설, 수평적 요소(도로)는 대부분 해외사례로 국내의 사례는 찾아보기 힘들었으며, 오늘날의 문화·예술 활동을 반영할 수 있는 효율적인 기획과 제도의 확충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Recently we can easily encounter various exhibitions or installations for modern arts in the streets of cities. In the past, art had been only for special class and they were shown inside buildings such as museum and art hall. But today art has expanded to streets of cities, buildings, infrastructures of cities etc. This can be explained as a flow of era and a phenomenon where social value to provide the general public with cultural life is reflected. But though government or several bodies support this through policy and system, it is poor to reflect today's modern arts. And there is almost no study on exhibition space itself which becomes background of work or object. Accordingly, based on type reorganized with street landscape, infrastructure etc. consisting of city's external space, case study on modern arts in external city was proceeded with. Case study was proceeded with in three types such as city infrastructure, vertical elements(buildings), horizontal elements that are physical composition elements of city. Buildings were divided to appearance, wall (facade), and an opening for case study. Various activities of modern arts could be identified in all city infrastructure, vertical elements(buildings), horizontal elements. Especially, vertical elements (buildings) showed more cases than other elements and this would come from various needs, and easiness in work and process. On the other hand, city infrastructure and horizontal element(road) that essentially need collaborate work with governmental organization, local government etc. are almost foreign cases, domestic case was rare. So, efficient planning and expansion of system to reflect today's culture and arts activity are requir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디지털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