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모놀로그’에서 ‘다이얼로그’로 : 패러다임 전환의 선교해석학적 성찰 (From Monologue To Dialogue : Missiological Hermeneutic Study on Paradigm Shift)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17.06
36P 미리보기
‘모놀로그’에서 ‘다이얼로그’로 : 패러다임 전환의 선교해석학적 성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선교와신학 / 42호 / 11 ~ 46페이지
    · 저자명 : 강아람

    초록

    선교를 Presence(삶/현존)-Proclamation(선포)-Persuasion(설득)- Production(생산)으로 굳이 나눈다면, 한국교회 기존의 선교는 선포-중심의 모놀로그적 방식이었다고 할 수 있다. 한국교회는 장구한 기독교역사를 가진 서구가 뒤늦게야 타종교의 존재를 인식하게 된 데 비해서, 기존의 타종교사회 안으로 나중에 기독교가유입되어 들어왔다. 따라서 모이는 교회의 측면이 강조될 수밖에 없었으며기독교정체성의 생성·유지·강화를 위해 타종교와 뚜렷하게 선을 그으며배타적인 태도를 조장하게 되었을 것이다. 이외에도 한국교회는 여러 이유에서 배타적이고도 과감한 독백적 선포를 그 지배적인 선교패러다임으로유지해왔고, 이러한 기존의 패러다임에도 장점은 있기 마련인데 그러한 한국교회만의 장점과 저력을 지나치게 과소평가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시대는 모놀로그가 아닌 다이얼로그적 패러다임의 선교가 요청되고 있다. 대다수 신학자는 한국교회의 가장 큰 위기를 지역사회와의 ‘소통’의 문제로 본다. 맞는 이야기다. 그런데 필자는 좀더 나아가 선교해석학적 관점에서 글을 기술할 것이다. 특히 상호문화해석학은 복음과 문화의 관계에서 복음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화도 해석학적 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전제로 한다. 그럴 때 과거에특정 문화권의 이해를 기준으로 다른 문화권의 전통을 판단하던 태도가 지양되고, 모든 문화가 하나님 앞에서 동등하다는 사실을 근거로 복음을 다양하고 새롭게 해석하게 된다. 글의 구성은, 본론으로 들어가기에 앞서 선교해석학을 정의한다. 특히‘상호문화 해석학’(intercultural hermeneutics)을 소개하고 그 틀을 사용한다. 이어서 기존의 선교패러다임에 대한 진단과 원인분석 후, 대안적 패러강아람 ‘모놀로그’에서 ‘다이얼로그’로: 패러다임 전환의 선교해석학적 성찰 13 다임의 필요성을 기술할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상호문화해석학을 실천한 선구적 인물로서 서서평(Elizabeth J. Shepping, RN, 1880-1934) 선교사의 실례를 제시한다. 그럼으로써 상호문화해석학이 이론적 대답보다는 현장속에서 실제적 응답으로 나타나야 할 근본적인 사안임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In intercultural hermeneutics, repentance and resulting transformation happen both ways. Through such change all may progress toward completion and fullness of salvation.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at it is the Holy Spirit who is the hidden agent of intercultural hermeneutics. Without the Spirit, intercultural hermeneutics is no more than a circular structure of human rationality. In the case of Shepping as well, her hermeneutics did not simply come to be through the interaction of the Korean and the American culture; the Holy Spirit was in action. Acts 15:28 states: “For it has seemed good to the Holy Spirit and us to impose on you no further burden than these essentials.” Elizabeth Shepping, through her life and missionary works, may be described as “a missionary who lived an anti-imperialistic life in the imperialistic age”. In other words, hers was a life of incarnational love through complete self-sacrifice and service. What enabled Shepping to overcome the dominant spirit of the times and live an anti-imperialistic life in an imperialistic age? I would answer that in Korea, by identifying herself with Koreans, she persisted in living out the incarnation. This answer may be summed up in one word as konvivenz, a missionary concept meaning living together. Konvivenz is a missionary concept based on intercultural hermeneutics defined by Theo Sundermeier, which means to persistently live together through daily life. The gospel can only transform the culture if it goes through the process of cultural adaptation while at the same time maintaining a distance from that culture. In the encounter between the gospel and a culture, through a process of self-reflection in the interaction, the gospel can renew the culture while not getting submerged. In the past, missionaries took their own understanding of the gospel and the culture as the standard on which to judge all others. If such approach should be avoided, one must then determine who will decided the content and standard of cultural reform. Shepping seems to have taken the dual stance of adaptation into and distancing from (transformation) both the Korean and the American culture. Her standard was neither of the cultures, but a new intercultural hermeneutic that arose in the space of interaction. She seems to have avoided uncritical submission into either cultures. Shepping could avoid succumbing to the spirit of the times and the dominant missionary approach by employing intercultural hermeneutics acquired through everyday life of konvivenz. This enabled her to avoid idolizing her own culture and persist in incarnational mission as the expression of God’s lo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선교와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