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씨남정기>로 본 호지칭어의 선택기제와 가족의식 (A Study on the Familism and the Mechanism of using Title based on 『Sassinamjeonggi』)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09.06
46P 미리보기
&lt;사씨남정기&gt;로 본 호지칭어의 선택기제와 가족의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영남학 / 15호 / 143 ~ 188페이지
    · 저자명 : 이장희

    초록

    이 논문은 조선 후기 관료가족의 호칭어와 지칭어의 사용원리를 살펴보고, 이 원리가 반영하는 가족주의를 고찰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하여 <사씨남정기>에 쓰인 호칭어와 지칭어를 활용하였다. 이 논문에서 논의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대명사의 사용원리: 1, 2인칭의 사용에는 힘(신분, 항렬, 나이)이 좌우하지만, 2인칭에서 화자의 체면유지를 위해서 ‘그□’를 쓸 수 있다. 3인칭 ‘져’는 현장에 없는 인물을 낮추어 쓴다.
    2) 명사의 사용원리: 1인칭으로 사용한 ‘이름’은 최대의 겸양을 표현하고, 2인칭으로 사용한 이름’은 ‘일체감’을 시현하며, 3인칭으로 사용한 ‘이름’은 ‘구체적 지시’를 표현하기 사용되었다.
    3) 품사들 간의 사용원리: ‘겸양의 대명사’나 ‘존대의 2, 3인칭 대명사’가 없어 ‘명사’가 쓰이기도 한다. 한편 ‘나’의 사용이 힘을 과시하는 것이라면, ‘명사’의 사용은 강한 유대를 드러낸다. 2인칭 호칭어는 유대의 강도에 따라 ‘너>보통명사>그’ 순서로 나타난다. 3인칭 ‘져’를 대신하는 명사는 ‘구체성, 특수성’을 표현한다.
    4) 호지칭어 선택의 유대 기제: 유대[Solidarity]는 힘[Power]을 무시하고 화자의 청자에 대한 심리적 태도를 따른 것이다. 유대[Solidarity]는 화자와 청자의 소속범위(가족/비가족), 소속원인(혼입/비혼입), 상호관계(우호적/적대적), 화자의 일방적 태도(우호적/비우호적), 부르는 대상의 현재 존재여부(현장성/비현장성)가 기준이 된다.
    5) 호지칭어에 반영된 가족주의: ‘姓’을 붙여 가족과 비가족을 구분하며, ‘나’의 가족간 사용에서 가족의 범위와 서열을 읽을 수 있다. 한편 남성은 이름을 금기하여 권력의 중심이 되나, 여성은 시가에서 ‘친정의 姓+부인’으로 불리고, 친정에서는 ‘시가의 姓+부인’으로 불려 소속이 없는 권력의 주변부에 있다. 한편 여성은 권력의 추이에 따라 승자와 패자가 호칭어에 직접 반영되기도 한다. ‘관직명’이 가장의 호지칭어로 널리 쓰이는 점, 관료에 대한 우대 호칭 등은 관직이 가문의 명예임을 암시한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the principle of the title of bureaucratic family in the late Chosen dynasty and to investigate the family system of reflecting it. The thesis is based on the title used in 『Sassinamjeonggi』. Its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rinciple of using pronoun
    The use of 'I' and 'You' depends on internal force as well as external forces like social status, generations of the clan, age. While ‘Keudeuy’ instead of 'You' is used to keep a speaker's prestige. the third person pronoun ‘Tsyeo' is used to say absent person characterizing low social status and hostility.
    2) The principle of using noun
    Names instead of 'I' are used to express extremely politeness, while names instead of 'You' to express the sense of unity. The use of names in the third person is to indicate a specific person.
    3) the principle of using particles
    Noun is used in case of absence of pronoun and the second person, the third person with the meanings of humility and being, respectively. "I' is used to express power, while noun to show solidarity. The strength of solidarity in case of using the second person title is ordered as ‘You>common noun >Keudeuy’. Noun instead of the third person ‘Tsyeo’ is to express concretization and particularity.
    4) The mechanism of solidarity for the selection of title
    Solidarity is not based on power, but a listener's psychological attitude to a speaker. It is used as criteria to indicate the range of belonging like family or non-
    family, correlation of friendship or hostility, a speaker's friendly or antagonistic attitude,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objects called.
    5) The familism reflected in title
    Family and non-family is classified based on a family name, and the range and order of family can be read through the use of 'I' within the family system. Male is highly ordered by the prohibition of using a given name. However, female is called as a married woman attached to her father's given name in a husband family, while she is a person excluded in her parents' family due to the calling of a married woman attached to her husband's given name. The naming of female reflects her successful or unsuccessful status in terms of power. The name of bureaucratic position is widely used as a title of male. Particularly, the bureaucratic position in a highly respectful title given to a bureaucrat is revealed as a glory of fami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남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