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거문고의 개량과 <연주실제>로 본 복원, 재현의 시도 (The Attempts to Improve Geomungo and Restore, Reproduce Geomungo Seen in Its )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17.12
30P 미리보기
거문고의 개량과 &lt;연주실제&gt;로 본 복원, 재현의 시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동양음악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양음악(구 민족음악학) / 42권 / 193 ~ 222페이지
    · 저자명 : 허익수

    초록

    전통음악 악곡을 범주로 한 거문고 관련 시도는 크게 악기개량의 시도와 복원연주 및 재현연주의 시도 두 가지로 나눠서 살펴볼 수 있었다.
    첫째, 악기개량을 음고・음가・음량・음색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음고의 시도는 1969년부터 2014년까지 총 3회의 시도가 있었다. 첫 번째 시도는 정악용의 괘율을 위한 시도(1969)이며, 두 번째(1970년대)와 세 번째(1970년대) 시도는 정악・산조용 괘율을 위한 시도이다. 음가의 시도는 1997년에 1건, 2003년에 5건으로 총 6건(7종류)이 있었다. 음가 확장을 위해서는 줄의 진동과 관련 있는 부속품 개발, 줄이 악기에 닿는 면을 적게 하는 방법, 기존 악기 부속품을 변형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음량에 관한 시도는 1997년부터 2002년 사이에 총 6건으로 공명판 추가 설치, 공명통을 변형, 악기 몸통을 변형하는 방법 등이 있었고, 음색을 위한 시도는 없었다.
    둘째, 고음반과 고악보를 대상으로 한 복원연주 또는 재현연주의 시도는 다음과 같다. 고음반을 대상으로 한 연주 시도는 거문고 연주자의 주도로 2005년부터 2016년까지 4건(개인독주회 8회)이 행해졌다. 형태의 종류는 선율 재현연주(2건), 시김새 재현연주(1건), 선율 복원연주(1건)의 3종류가 있다. 음악의 종류는 주로 영산회상(가즌회상)과 산조이다. 고악보를 대상으로 한 연주시도는 2009년부터 2015년 사이에 3건(개인독주회 1건, 정기연주회 2건 외 다수 연주)의 복원연주가 행해졌다. 복원연주의 형태로는 역(譯) 복원연주, 역(譯)편곡 복원연주의 2가지 형태가 있다. 음악의 종류는 종묘제례악 전곡의 거문고선율, 현악취타의 거문고선율, 평조회상 중 하현도드리의 거문고선율이다.
    이상 거문고의 개량에 대한 시도 및 <연주실제>로 본 복원연주와 재현연주의 시도를 살펴보았다. 악기개량의 경우 현재는 음고 이외의 음향개량은 멈추었거나 끝난 상태이다. 그 이유 중 하나는 거문고란 악기의 고유한 모습을 대하는 태도가 양적인 관심에서 질적인 관심으로 바뀌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연주실제>로 본 복원연주와 재현연주의 경우, 고악보 대상 복원연주는 기관 주도하에 이루어진 특징을 볼 수 있고, 고음반 대상 재현연주는 연주자 개인의 주도가 주를 이룬 특징을 볼 수 있었다. 거문고 연주자들이 고악보를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음에도 고악보의 복원연주보다 재현연주에 치중한 이유 중 하나는 복원이 가진 불완전성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불완전성을 극복하기 위해서 복원에 관심 있는 거문고 연주자와 음악학자와의 협업의 장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The attempts on Geomungo with the category of the traditional music were largely divided into two: improving the instrument, and attempting to reproduce and revive performance.
    First, it is as follows examining the improvement of the instrument from the aspects of pitch, time values, volume, and tone. There had been three attempts to improve the pitch of Geomungo from 1969 to 2014. The first attempt was for Gwaeyul for court music (1969), and the second and third (the 1970s) was for Gwaeyul for court and Sanjo. There have been total six attempts (seven kinds) to improve time values: one in 1997, five in 2003. These were developing components related to vibration of lines to extend the time value, reducing the contact surface of line and instrument, and modifying the existing components. For the volume, there had been six attempts from 1997 to 2002, such as an additional installation of sounding boards and modifying resonators or the body of the instrument. There has been no attempt to improve the tone.
    Second, the attempts for reproduction and restoration performance for ancient records and ancient scores were as follows. The performances of ancient records led by Geomungo players had been four times from 2005 to 2016(eight personal recitals). There were three types of performance: melody reproduction (2), Sigimsae reproduction (1), melody restoration (1). The types of music are mostly Youngsanhoesang(Gazunhoesang) and Sanjo.
    The performance for ancient scores had been three times from 2009 to 2015(one personal recital, two regular concerts, and many others). There are two types of restoration performance: translated restoration performance and translated arrangement restoration performance. The kinds of music are Royal Ancestral Rites music Geomungo melody, string music Chwita Geomungo melody, Hahyeondodery Geomungo melody in Pyeongjohoesang.
    Thus, the attempts to improve Geomungo and to reproduce and revive performance were examined as such. In the case of instrument improvement, the sound improvement other than for pitch is now stopped or ended. One of the reasons is that the attitude toward the unique instrument, Geomungo, has changed from quantitative interest to qualitative interest. In the case of reproduction and restoration performance seen in the actual performances, the restoration performances for ancient scores were done under the authority of the organization. On the other hand, individuals took main roles in the performance of ancient records.
    Although Geomungo players have enough ability to interpret ancient scores, one of the reasons for focusing on reproduction performance rather than restoration performance of ancient scores is due to the incompleteness of restoration. To overcome this incompleteness, it is necessary to collaborate with Geomungo players and musicologists who are interested in resto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음악(구 민족음악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