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해방 전후 이유태 회화의 변모: 인물화에서 산수화로 (From Figure to Landscape: Yi Yu-t’ae’s Search for Identity in Post-liberation Korea)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23.12
32P 미리보기
해방 전후 이유태 회화의 변모: 인물화에서 산수화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연구 / 45호 / 119 ~ 150페이지
    · 저자명 : 서희륜

    초록

    본 논문은 한국 근현대 수묵채색화단에서 활동한 화가이자 미술교육자였던 玄艸 李惟台(1916~1999)가 주목받던 인물화가에서 광복 이후 산수화가로 변모하는 배경과 과정을 분석하고 이유태 산수화의 한국 현대미술사상 의의를 밝히고자 한다.
    이유태는 일본 유학 이후 일제강점기 조선미전을 중심으로 스승인 김은호의 영향을 받은 미인화를 여러 점 출품하여 최고상인 창덕궁상을 받기도 하였다. 그 영예를 안겨준 조선미전 제23회 출품작 《人物一對-探求·和韻》은 현재까지 이유태의 대표작으로서 언급된다. 그러나 해방 전인 1944년 징용을 피해 은신하던 탄광에서 산수화에 흥미를 갖게 되고, 해방 이후 인물화는 거의 그리지 않고 우리 산천의 숭고미를 주제로 작고 전까지 산수화가로서 국토의 아름다움을 담는 데 주력하게 된다. 이유태의 산수화는 1960년대 중반 이후 선명한 채색 산수화풍으로 구축된다.
    본고는 이유태의 단호한 화목 변화와 함께 채색 산수화풍을 꾸준히 지속하는 일관성에 주목, 이를 당시의 시대적 분위기와 화단의 유행을 토대로 사회경제사적 맥락 추적을 시도하였다. 이유태는 광복과 분단이라는 큰 사건을 연달아 겪으면서, 왜색 청산과 민족 문화 건설의 필요성에 공감하였고 이는 그의 작업에도 고스란히 영향을 미쳤다. 해방 이후, 조선미전에 출품되던 미인화는 극복해야 할 일제의 잔재로 여겨진 것에 반해, 진경산수가 주목받아 우리 국토에 대한 관심이 요구되었다. 특히 이유태가 1960년대부터 설악산도를 다작하였다는 점에서 동시기, 분단 이후 금강산을 대신하여 한국을 대표하는 산으로 부각된 설악산의 개발사와 더불어 정부의 관광산업 육성 정책과 결부하여 밝혔다. 또한, 이유태가 선명한 채색 산수화풍을 선택한 이유를 당시 태동하던 한국 미술시장의 유행을 토대로 고찰하였다. 이유태가 택한 화목 및 화풍, 즉 채색 산수화는 인기 있던 반면 비구상 회화는 수요가 없었다. 이유태는 한국 사회를 추동한 화두 및 시대적 요청에 감응하면서 그의 개인적 취향 또한 고수함으로써 당시 수묵채색화단의 중진 산수화가로 족적을 남겼다.
    본 연구는 그간 인물화에 비해 주목받지 못하였지만, 그의 작업세계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산수화의 사회문화사적 배경을 살펴보면서 그 미술사적 의미를 부각했다는 데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zes the context and progression behind modern Korean colored ink painter Yi Yu-t’ae’s (1916-1999) shift from acclaimed portrait artist to landscape painter,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Yi’s landscape paintings withi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art.
    Following his study in Japan, Yi gained recognition for numerous paintings of Korean beauties (miinhwa), influenced by the work of Kim Ŭn-ho (1892-1979), showcased through the Chosŏn misul chŏllamhoe (Sŏnjŏ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He was honored with the Ch’angdŏkgung Award, the highest accolade conferred at the Sŏnjŏn. However, Yi’s focus shifted to landscape painting during the pre-liberation period of 1944, when he hid away in a coal mine to avoid Japanese conscription. Post-Korean liberation, Yi produced hardly any figure paintings, focusing from that point onward on rendering the beauty of his country’s mountains as a landscape artist who took as his subject the sublime quality of the Korean natural environment. From the mid-1960s onward, Yi’s work consisted of polychrome landscapes of Korea.
    This paper highlights Yi’s pivotal shift in artistic genre and his steadfast commitment to polychrome landscape painting, examining the societal context of his work within the prevailing zeitgeist and the artistic trends of the era. It draws a connection between Yi’s Mt. Sŏrak landscapes—particularly numerous since the 1960s—and the contemporaneous emphasis on the development of that same mountain as a replacement for Mt. Kŭmgang after the division of Korea. The paper further explores Yi’s rationale for embracing colored landscapes in response to trends in the Korean art market. Yi not only responded to the issues driving Korean society and the demands of this juncture in history but also remained true to his own artistic bent, ultimately leaving his mark as one of the era's foremost polychrome ink landscape painters.
    This paper finds value in examining the socio-cultural context and the artistic significance of Yi Yu-t’ae’s landscape paintings, which constitute an extensive yet overlooked portion of Yi Yu-t’ae’s work in comparison to his portrai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