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화로 읽는 근대 이행기 시가문학 – 『대한매일신보』를 대상으로 – (Reading Poetic Literature in the Transitional Period toward Modern Ages as Culture: 『The Korean Daily New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09.12
28P 미리보기
문화로 읽는 근대 이행기 시가문학 – 『대한매일신보』를 대상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과 문화 / 50호 / 83 ~ 110페이지
    · 저자명 : 문선영, 한태문

    초록

    이 논문은 한국의 대표적인 근대 신문인 『대한매일신보』에 수록된 시가 자료들을 통해 한국 근대 이행기 시가의 정체성을 살펴보려는 의도 아래 기획 집필한 것이다. 이 때 중심되는 화두는 ‘문화’이다. 근대 이행기를 배경으로 한 시가문학을 대상으로 당대 문화 풍속도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대한매일신보』는 1904년 7월 18일 창간되어 경술국치 직전인 1910년 8월 28일까지 간행되었다. 연구 대상으로 삼은 『대한매일신보』 국문판(國文版) <시사평론>란에 실린 ‘계몽 가사(歌辭)’들을 중심으로 민요, 창가(唱歌), 시조 이외 기타 시가들을 다루었다.
    <『대한매일신보』에 나타난 문화의식>은 ‘문화’ 코드를 중심으로 한국 근대 시가의 정체성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룬 것이다. 문화의 범주로는 일상문화와 기저문화에 주목했다. 여기서 당대 풍속의 동선과 민족주의 그리고 계몽주의를 통해 당대 문화의식을 도출하였다.
    이때 전근대와 근현대 사회를 통합적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노력이 전제된다. 『대한매일신보』의 시가문학이 한글을 주된 표현 문자로 선택한 것도 당대 문화풍속 담론을 읽어내는 데 이바지한다. 이는 『대한매일신보』 편집진들이 시가문학의 독자를 전통적 지식인층보다는 한글 사용의 일반대중 또는 여성으로 생각했기 때문이다. 또한 이는 사회 변화가 대중들에 의해 일어나는 것이라는 생각에서 비롯되었기 때문이다. 이상의 생각들을 중심으로 이 논문은 근대 이행기의 문화 풍속 담론으로 우리 근대문학사의 정체성을 해명하는 데 바쳐져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planned and written with the intention of examining the identity of Korean poetry in the transitional period toward modern ages from the poetic works appearing in The Korea Daily News. The subject of this discussion of ours is 'culture'. It tries to consider the picture of the manners and customs of the times having as the object the poetic works depicting the transitional period toward modern ages.
    The Korea Daily News was first published in 18 July 1904, and had been published until 28 August 1910, just before Gyeongsul Gukchi. This paper also deals with minyos, changgas, sijos, and other poetic works, centering on 'Enlightenment Gasas' appearing in the column of 'The critical comments on the current issues,' the poetic works appearing in the Korean edition of The Korea Daily News, which are the object of our study.
    'The Cultural Consciousness Appearing in The Korea Daily News' focused on the problem of the identity of Korean poetic works in modern ages. It paid attention to ordinary culture and subculture as the categories of culture. It deduced the cultural consciousness of the times from the movement track in the manners and customs of the times, nationalism, and illumine.
    It also witnesses the thinking that social changes are brought out from the public. Centering on the considerations delineated above this paper devotes itself to clarify the identity of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n modern ages by the discourses on the cultural manners and customs in the transitional period toward modern ag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