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간이해를 매개로 한 신학과 심리학의 만남 (Pastoral Theological Anthropology of Bridging Theology and Psychology)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15.09
34P 미리보기
인간이해를 매개로 한 신학과 심리학의 만남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사상 / 170호 / 249 ~ 282페이지
    · 저자명 : 김기철

    초록

    목회신학은 ‘다리의 학문’으로써 이론과 실천, 신학과 (다른 사회 과학들을 포함하는) 심리학, 복음과 상황, 그리고 공적인 하나님 개념과 사적인 하나님 표상을 서로 연결해준다. 이러한 다리 잇기의 작업은 신학이 그 모드를 목회 신학으로 바꿀 때에 더 활기를 띠고 더 효율적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음이 역동성과 생명력이 있는 영성생활로 이어질 수 있다.
    주류 신학의 인간이해는 죄인으로써의 인간 본성을 강조해온 반면, 하나님 형상 담지자로써의 인간 본성을 상대적으로 소홀하게 여겼다. 이와 함께, 교회의 공식적인 신학은 ‘육체라는 감옥에 갇힌 영혼’이라는 이미지를 발전시켰다. 이로 인해, 육체는 신학적인 이원론에 근거하여 열등한 것으로, 죄를 짓게 하는 도구로 격하되어 인식되었다. 하지만, 목회신학은 인간의 육체성이 지니는 가치와 의미에 다시 주목하기 시작했다. 육체가 그 안에 성스러움을 간직하고 있고, 복음과 삶을 연결시키는 채널 역할을 하고 있으며, 하나님을 경험하게 하는 통로이자 하나님 형상을 살아내게 하는 수단으로 경험된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목회신학적 인간이해는 ‘하나님 형상의 상실,’ 그리고 ‘전인격체인 인간 안에서 일어나는 육체에 대한 격하와 육체의 소외’ 라는 주제들과 관련된 신학적 의미를 면밀하게 검토한다. 이를 통해 목회신학은 하나님 형상을 더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새로운 신학적 인간이해를 요청한다. 심리학의 인간이해는 자기다움을 추구하는 인간 본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목회신학의 인간이해는 하나님 형상을 살아내는 인간 본성을 강조한다고 할 수 있다. 하나님 형상이 각자의 개성과 온전하게 만날 때, 신앙인은 하나님 형상을 즐겁게, 지속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목회돌봄과 상담은 돌봄대상자들이 자신들의 고유한 삶의 환경 속에서 효율적이고 활기차게 하나님 형상을 살아낼 수 있도록 격려하고 힘을 북돋아준다. 이를 위해 목회신학은 필요할 때마다 모드를 전환하여 다리 놓기를 하고, 또한 놓아진 다리 위에서 더 적극적으로 복음의 정체성과 영향력을 강화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Pastoral theology is not just a branch of practical theology, but it is a “bridge discipline” bridging theory and practice, theology and psychology (including other social sciences), and the public God-concept and the private God-image. This work of bridging can be more efficacious when theology changes its mode to pastoral theology. Pastoral theology is “function-centered,” which brings theology and psychology together and results in an amicable dialogue between the two. By doing pastoral theology the gospel can bring a more dynamic and fruitful spiritual life.
    The mainline theological anthropology has identified human nature with sinner under the original sin, while relatively neglecting human nature as God’s image-bearer. It seems that the official theology of the church has employed the (total) loss of the Image of God in humanity in order to fortify the doctrine of fall of humanity. In addition to that the official theology has confirmed the image of the soul’s imprisonment in the flesh. Then the flesh has been regarded as being inferior and degraded as a means for sinning based on the theological dualism.
    However, pastoral theology, the changed mode of theology, rediscovers the value of the human fleshness. The flesh created by God contains sacred in it and plays its role as a channel between the gospel and life. For Christians, it has been a path toward experiencing God and a means for imaging God. We are not supposed to alienate the flesh from the whole personality. Christian way of understanding human beings rooted in the Image of God which has never been lost or damaged and is supposed to be embodied in our lives to the likeness to God. In this sense, we need to pay close attention to the human fleshness, including emotions, intuitive senses, and physical senses and desires, through which we can image God.
    Pastoral theological anthropology examines theological meanings of the loss of the Image of God and the degradation of the flesh in the whole personality. Then, pastoral theology asks for a new theological anthropology for more efficacious imaging God. Psychological anthropology focuses on the human nature of seeking for selfhood, while pastoral theological anthropology emphasizes the human nature of imaging God. When the Image of God faithfully meets individuality in us, we can image God joyfully and continuously.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encourages and empowers caretakers to image God in their own situations, more efficaciously and playfully. For this, pastoral theology needs to change its mode as necessary to bridge and play on the bridge more active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