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궁성(만월대) 출토 청자로 본 건물지군의 성격 (An Educated Guess as to the Nature of a Group of Building Sites Based on the Celadons Unearthed from Manwoldae, a Royal Palace the Goryeo Dynasty)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20.05
29P 미리보기
고려궁성(만월대) 출토 청자로 본 건물지군의 성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史學報 / 79호 / 35 ~ 63페이지
    · 저자명 : 박지영

    초록

    고려궁성, 만월대의 殿閣 배치에 관한 연구는 『고려사』나 『고려도경』 등의 문헌기록을 통해 이루어져 왔는데, 각 건물지에서 출토된 유물의 성격을 함께 살펴보는 것은사료가 갖는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작업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개성 고려궁성에서 출토된 자기들을 건물지군별로 정리하고 그 양상을 통해 건물지군의 성격을 살펴보았다. 제6 건물지군은 출토유물을 통해 주요 전각을 보좌하는 부서들(상약국, 상의국 등)이 모여 있던 곳으로 추정되며, 고려 전・중기에 중심적으로 운영되었다. 또이 구역의 건물들은 1215년(고종 2) 重房에 의해 철거되어 옮겨졌던 것으로 여겨진다. 제6 건물지군과 유사한 자기들이 출토되는 제1 건물지군은 연영전(각)을 중심으로 강학과 茶(湯), 酒 등을 함께 하는 연회, 휴식이 이루어진 공간이었다. 따라서 차나 술과관련된 자기들이 출토된 것으로 여겨진다. 8차 조사에서 확인된 ‘燒錢’명 청자 등 다수의 잔과 잔탁 등은 강화 천도 직전인 13세기 전반에 회경전(선경전)에서 거행되었던초제에서 사용된 것이다. ‘소전’명 청자의 제작 시기는 출토 구역과 기록상의 초제 장소를 검토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초제의 성격(三界醮, 十一曜醮 등)을 참고하여십일요초에 사용된 청자보다 ‘소전’명 청자가 선행한다는 점도 편년에 참고하였다. 유구가 심하게 파괴되어 기존에 인식되지 못했던 제7 건물지군의 성격에 대해서는 왕실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격이 높은 전각이 있었던 것으로 보았다. 특히 왕과 왕비를상징하는 용, 봉황과 같은 문양과 베개 등의 특수한 기종들이 출토되어, 휴식이나 여가를 위한 사적인 생활공간인 寢殿이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여겨진다. 본고에서는 출토유물을 통해 건물지군의 성격에 대한 다양한 가능성을 제시해보았다. 소량의 유물을 통한 試論에 불과하지만, 만월대를 이해하고 궁성의 배치를 연구하는 여러 가지 방법 중의 하나로 이해되길 바란다.

    영어초록

    Various studies on the layout of the buildings of Manwoldae, a royal palace dating from the Goryeo Dynasty, have been carried out based on such literature as Goryeosa 高麗史(The History of Goryeo) or Gaolitujing 高麗圖經(Illustrated Account of Goryeo). Investigating the nature of artifacts unearthed from the buildings of a historic site is a good way to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written records. This study categorized the ceramic objects unearthed from the site of Goryeo Palace in Gaeseong according to the groups of buildings and investigated the nature of those groups. An examination of the unearthed objects made it possible to guess that building group no.6 consisted of offices (such as a medical or pharmaceutical bureau) which served the medical needs of the inhabitants of the royal palace during the early to mid-Goryeo period. However, the buildings in this area are believed to have been demolished and moved to another area in 1215.
    As for building group no.1, where ceramic objects similar to those unearthed at building group no.6 have been unearthed, it is assumed that they (particularly Yeonyeongjeon Hall) served as venues for lectures or banquets at which tea and liquor were served, given that some of the unearthed objects appear to be associated with tea or liquor. The liquor cups and saucers, including the ones inscribed with characters such as 燒錢 (pronounced "sojeon," which was the name of an office) identified during the eighth survey of the site, were possibly used at a ritual performed at Hoegyeongjeon Hall (aka Seongyeongjeon Hall) in the early thirteenth century, i.e. just before the relocation of the dynasty's capital to Ganghwa. The period during which the liquor cups and saucers were made could be ascertained by reviewing where they were excavated and where the ritual was held in the written records. Based on the nature of the ritual (i.e., Samgyecho and Sibiryocho rituals), celadons inscribed with characters 燒錢 are assumed to have been produced earlier than the ones used for Sibiryocho rituals. As for building group no.7, which could not be identified until later due to the poor condition of the site, it is assumed to have been the location of halls of a higher status that were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royal family. The discovery of pillows and dragon- and phoenix-patterned ornaments symbolizing king and queen has led researchers to guess that the building was the private quarters of a royal couple. This study attempted to ascertain the nature of the building groups of the royal palace based on an examination of unearthed artifacts. Although its conclusions are merely the results of guesswork based on a small number of artifacts, it is hoped that it will serve as a meaningful step toward deepening our understanding of the overall nature and layout of Manwolda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史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6 오전